부동산 대출 개인간거래(P2P) 업계 3위인 루프펀딩의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대형 업체로 부실위험이 확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P2P 대출잔액은 지난 6월 말 현재 1조원이 넘어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확산되고 있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후순위 대출을 전문으로 하는 루프펀딩은 연체율이 두 달도 안 돼서 2배 넘게 급증해 자산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 루프펀딩 부실이 특히 주목되는 것은 빅3 부동산 대출 P2P 업체이기 때문이다. 소형 부동산 P2P 업체의 경우 대표가 고객 투자금을 받아 사기를 치거나 잠적하는 등 불법행위가 빈발했지만 대형업체의 부실이 불거진 것은 처음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대형 부동산 P2P 업체의 부실 위험 증가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한 P2P 업체의 대표는 “부동산에 과도하게 치우친 대형 업체가 부동산경기 침체가 이어지면 위태로워지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며 “작은 업체가 사기 등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것보다 대형업체가 무너지는 게 시장에 훨씬 더 타격이 크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5월 말 기준으로 루프펀딩의 대출잔액 950억원 중 930억원이 부동산 PF에 쏠려 있다.
지방 부동산 위축 외에도 P2P 업체들이 부동산 PF 대출에 대한 심사를 부실하게 하다 보니 터질 게 터졌다는 반응도 나온다. 업계 빅3도 부실을 예측하지 못할 정도로 대출심사가 엉성하게 진행되다 보니 다른 P2P 업체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상황이다. 루프펀딩은 최근 전 대출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12곳만 부실화됐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투자자들은 오히려 부실을 축소한 결과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P2P 업체 부실이 커지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은 투자자 보호를 위한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행법상 당국의 P2P 업체에 대한 직접적인 감독 권한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국회에 P2P 관련 법안 4개가 계류 중이지만 금융권에서는 P2P에 대한 국회의 관심도가 낮아 통과될지는 미지수라는 부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P2P 업계는 입법 없이 P2P 시장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꾸준히 건의했지만 금융당국이 문제가 될까봐 몸을 사리면서 무작정 선부터 긋고 나서면서 육성 타이밍을 놓쳤다는 비판도 나온다. 대표적으로 P2P 업체에 대한 금융기관의 투자를 허용해야 한다며 규제 완화를 요구해왔지만 당국은 끝내 수용하지 않았다. 전문성을 갖춘 금융기관이 P2P 대출상품에 직접 투자를 하게 되면 개인투자자가 신뢰를 더 갖고 투자할 수 있어 시장의 신뢰도가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인데, 금융당국은 금융기관의 투자가 이뤄지면 개인투자자들이 밀려날 수 있다며 반대했다. P2P 업체 관계자는 “기관투자로 개인투자자가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같이 규모가 커진다”며 “미국 P2P 업체 프로스퍼가 그동안 내온 연구자료를 살펴보면 기관투자가 증가하면 개인투자자 투자규모도 같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금융기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P2P가 국내에서만 맥을 못 추고 오히려 고객자금 횡령 등 잦은 불법행위와 연체율 급등으로 고사 위기에 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P2P 업체 관계자는 “법제화 이전에 업계가 할 수 있는 것은 업체 모범규준을 제시하는 정도밖에 안 된다”며 “금융당국이 국회만 기다리는 것보다 좀 더 적극적으로 P2P 시장 신뢰도 제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