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미래 먹거리로"

기술개발부터 생산·인력양성까지

전 주기 아우르는 클러스터 구축

日 벤치마킹 주민참여모델 발굴

일본 고토에 설치된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사진제공=울산시일본 고토에 설치된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사진제공=울산시



울산시가 제2의 조선 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산업을 위한 본격적인 기술 개발에 들어갔다.


울산시는 21일 울산대학교 해송홀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산업 육성 한·일 교류 세미나를 열었다.

관련기사



이번 세미나는 지난 6월부터 울산에서 정부 과제로 추진 중인 부유식 해상풍력 국산화 기술개발과제 착수 발표회로 ‘5MW급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시스템 개발’과 ‘200MW급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설계기술 개발’ 추진 현황이 소개됐다. 울산시는 세미나에서 정부의 부유식 해상풍력 산업 기술개발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터빈, 부유체, 타워 등 부품 국산화와 단지 개발 설계를 앞당겨 나간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울산을 부유식 해상풍력 분야의 기술 개발, 제작·생산, 운영·보수, 인력양성 등 전 주기를 아우르는 클러스터로 구축해 나간다는 구상을 세우고 있다.

특히 이날 세미나에서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를 성공적으로 가동 중인 일본 고토시의 사례 발표가 있었다. 일본 나가사키현 다섯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고토시는 2016년부터 2㎿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고토시는 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0년부터 9기(2MW급 8기, 5MW급 1기)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고토시는 부유식 풍력발전기가 해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 관찰했으며 이를 통해 풍력발전기가 어초 역할을 해 새로운 어장이 형성된 사례를 발표했다. 울산시는 고토시의 사례처럼 지역 어업인과 공생하는 것이 해상풍력 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관건인 만큼 주민 수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주민 참여 모델을 발굴하기로 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