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미중 무역전쟁탓? 폼페이오 美 국무장관 방북 전격 취소

트럼프 대통령 트위터 통해 취소 알려

발표 하루만에 전격적 취소

중국 언급하며 "중국 탓"

무역 전쟁 진정되면 방북 예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로 예정됐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 계획을 전격 취소했다.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로 예정됐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 계획을 전격 취소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로 예정됐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 계획을 전격 취소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계획이 발표된 지 하루 만에 취소됨에 따라 북미 대화가 앞으로 한동안 정체 국면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24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비핵화 성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가운데 중국이 무역 갈등 탓에 예전만큼 미국을 돕지 않는다고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 측면에서 충분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에 폼페이오 장관에게 이번에는 북한에 가지 말라고 요청했다”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 측면에서 충분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에 폼페이오 장관에게 이번에는 북한에 가지 말라고 요청했다”라고 밝혔다. 이날 방북 계획 취소는 발표 하루 만에 이뤄졌다. /트위터 화면 캡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 측면에서 충분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에 폼페이오 장관에게 이번에는 북한에 가지 말라고 요청했다”라고 밝혔다. 이날 방북 계획 취소는 발표 하루 만에 이뤄졌다. /트위터 화면 캡쳐


트럼프 대통령은 방북 취소 배경에 대해서는 북한의 비핵화 진전 부족과 함께 중국의 소극적인 태도를 언급했다. 그는 “중국과의 훨씬 더 강경한 교역 입장 때문에 중국이 예전만큼 비핵화 과정을 돕고 있다고 믿지 않는다”라고 언급하며 중국을 직접 겨냥했다. 또 “폼페이오 장관은 아마 중국과의 무역관계가 해결된 이후 가까운 장래에 북한에 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선 친밀감을 표시하며 2차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김 위원장에게 안부를 전하고 싶다”며 “그를 곧 만나길 고대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폼페이오 장관은 전날 국무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다음 주에 신임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함께 북한을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그의 네 번째가 될 방북 발표는 협상 결과에 따라 3차 남북정상회담, 2차 북미정상회담 등 후속 외교적 이벤트가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됐지만 무산됐다. 로이터통신은 방북 취소 결정에 대해 “북핵 위협이 끝났다고 말한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극적인 변화”라고 평가했고, 워싱턴포스트는 “뜻밖의 발표”라고 전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