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덥거나 춥거나…소름 돋는 현상으로 가늠

조영호 KAIST 뇌공학과 교수팀

피부 경도로 쾌적감 지표 만들어

피부 경도를 통한 인간의 열적 쾌적감 측정 모습. /사진제공=KAIST피부 경도를 통한 인간의 열적 쾌적감 측정 모습. /사진제공=KAIST



사람의 소름이 돋는 현상을 통해 개인별 쾌적감을 예측하는 지표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영호 교수 연구팀은 피부 온도와 땀 발생률이라는 기존의 두 지표에 더해 피부 경도(硬度)를 열적 쾌적감 지표로 추가하면 쾌적감 판단 신뢰도가 23.5% 향상하는 것을 입증했다고 29일 밝혔다.


추위나 더위를 느낄 때 모근에 붙어 있는 아주 작은 근육인 입모근(立毛筋)이 수축하거나 이완되는데 ‘소름이 돋는다’고 말하는 신체 반응은 입모근이 수축해 피부가 단단해지며 발생한다. 역으로 더위를 느낄 때 모공에서 땀이 나는 반응은 입모근이 이완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관련기사



조 교수 연구팀은 피부 경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는 한편 이를 자동차나 냉방기 등에 적용할 예정이다. 기업들은 현재 개인별 열적 쾌적감을 알아내 환경을 조절하는 냉난방 시스템 연구를 하고 있다. 같은 온도와 습도에서도 사람마다 ‘덥거나 추운’ 열적 쾌적감이 다르기 때문이다. 보통 사람은 더위를 느끼는 상황에서 피부 온도와 땀 발생량이 올라가고 역으로 추위를 느끼면 피부 온도와 땀 발생량은 감소한다.

조 교수는 “새로 발굴한 지표인 피부 경도를 도입하면 개인별 체질이나 기후 환경과 무관하게 실제 느끼는 열적 쾌적감 예측 신뢰도를 높일 것”이라며 “인간과 기계 간 정서적 교감까지 이룰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을 통해 수행했으며 윤성현·심재경 연구원이 주도한 연구 성과는 사이언티픽리포트 온라인판에 실렸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