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네이처 "총장 조사는 정치적 숙청" 국제이슈로 번진 KAIST 사태

韓과학자들 반발 움직임 상세 보도

직무정지 다룰 오늘 이사회가 분수령

신성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에 대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직무정지 추진과 검찰 고발의 후폭풍이 국제 이슈로 비화했다. KAIST 교수협의회가 13일 성명서를 발표한 데 이어 국제학술지인 ‘네이처’도 이날 한국 과학자들의 반발 움직임을 보도했다. 전날 미국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는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에게 직접 반박 e메일을 보냈다.


하지만 과기정통부는 이날 미국 LBNL의 반박을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도 신 총장 징계는 적법한 절차에 따른 것이라며 정면돌파 입장을 고수했다. 이로써 14일 오전 신 총장의 직무정지를 다룰 KAIST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이번 사태의 파장이 더 커질지, 봉합 수순을 밟을지 주목된다. ‘네이처’는 13일(한국시간) ‘총장을 연구비 유용으로 고발한 데 대해 저항하는 한국 과학자들’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한국 과학자들이 과기정통부를 비판하며 정치적 숙청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날 미국 LBNL 법무팀은 유 장관과 이장무 KAIST 이사장에게 “(신 총장이 보낸) 연구비는 기준에 따라 적합하게 진행됐다”는 e메일을 보냈다.

관련기사



이날 KAIST 교수협의회는 569명의 소속 교수 중 310명의 찬성으로 성명서를 내고 정부의 신중한 처리와 충분한 소명기회를 줄 것을 촉구했다.

손승현 과기정통부 감사관은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공기관 임원의 비위 혐의가 있으면 수사 의뢰하고 직무정지를 건의할 수 있게 돼 있다”며 해명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