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 연준, 추가 금리 인상…내년 인상횟수는 '3회→2회' 하향

트럼프 반대 속 2.25~2.50%로 0.25%p 올려, 올들어 4번째 인상

축소됐던 한미 금리격차 0.75%p로 다시 벌어져

통화정책 속도조절 공식화, 파월 “경로 바꿀 수 있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친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 2.25%~2.50%로 올렸다. /AP연합뉴스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친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 2.25%~2.50%로 올렸다. /AP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9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2.25%~2.50%로 올렸다. 올해 3, 6, 9월에 이은 네 번째 인상이다.

미 연준은 이날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거쳐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 발표했다. 금리 인상은 만장일치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진다. 연준은 성명을 통해 “노동시장과 경제활동이 지속해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금리 인상이 노동시장 상황과 인플레이션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에 따라 한국은행이 지난달 30일 1년 만에 기준금리를 올리며 축소됐던 한미 간 금리 격차(상단 기준)는 다시 0.75%포인트로 확대됐다.

연준은 앞으로도 점진적인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해 나가되, 내년부터 통화긴축의 속도를 조절할 전망이다. 연준은 내년도 금리 인상횟수를 기존 3회에서 2회로 축소했다. 통화정책회의 직후 공개된 점도표(dot plot)를 보면 FOMC 위원 17명 중 11명이 내년도 금리 인상 횟수가 2번을 넘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낮은 실업률 등 실물경제가 견고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어 추가 긴축에도 큰 부담은 없지만, 금융시장에서 나오는 통화 완화 기대감을 반영해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 결정 이후 기자회견에서 “연준은 현재 강한 성장과 실업률 감소를 예상하지만 그것이 실현되지 않으면 경로를 바꿀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가에서는 상승세를 탄 미 경제가 꺾이려는 징후가 나타나는 만큼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 횟수를 줄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

관련기사



연준은 일단 앞서 전망했던 내후년 1차례 인상 전망을 그대로 유지했으며, 2021년은 동결이 유력하다고 내다봤다. 또 지난 9월 3%로 봤던 장기금리를 2.8%로 하향 조정했고, 2020년과 2021년 금리 중간값은 3.1%로 전망했다. 연준은 내년 경제성장률도 소폭 내렸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예상치는 기존 2.5%에서 2.3%로 낮췄다.

이번 금리 인상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을 강하게 압박하던 중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 18일 연속으로 트위터를 통해 “달러가 강세이고 실질 인플레이션도 없는데 연준이 또 금리를 올리려 한다”, “연준은 의미 없는 통계 숫자만 들여다보지 말고 시장을 피부로 느껴라”라면서 금리를 동결할 것을 요구했다.

파월 의장은 회견에서 “정치적인 고려는 연준의 금융정책 결정에서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며 “연준의 독립성은 중앙은행이 일하는데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