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1,000대 상장사 중 적자기업, IMF 때보다 증가…"내년이 더 걱정"

CXO연구소, 1996년 이후 실적 분석…순익도 삼성전자 빼면 마이너스

올들어 국내 1,000대 상장사 가운데 영업손실을 본 기업의 숫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보다도 더 많은 수준이다. /이미지투데이올들어 국내 1,000대 상장사 가운데 영업손실을 본 기업의 숫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보다도 더 많은 수준이다. /이미지투데이



올들어 국내 1,000대 상장사 가운데 영업손실을 본 기업의 숫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보다도 더 많은 수준으로 하반기 들어 대내외 경제 여건이 악화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전체 적자기업이 199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20일 기업정보 분석업체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국내 1,000대 상장사의 지난 1996년 이후 경영 실적 추이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에 영업손실을 기록한 기업은 모두 150개에 달했다. 지난해 상반기(88개)보다 무려 70.5%나 늘어난 값으로, 하반기에는 이보다 더 증가할 가능성도 높다.

만약 올해 전체 영업적자 기업이 155개 이상을 기록한다면 1998년 187개 이후 20년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우게 된다. 외환위기 사태 이후 적자기업이 가장 많았던 해는 지난 2014년으로 적자기업은 총 154개에 달했다. 특히 우리나라가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던 1997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에도 적자기업은 각각 108개와 99개로 올해보다는 그 수가 적었다.


그러나 1,000대 상장사의 전체 영업이익 규모는 1997년 26조원에서 1998년 14조원으로 급락한 이후 대체로 상승곡선을 그리며 지난해 129조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이 선전하며 증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1,000대 기업의 당기순이익은 공교롭게도 1998년 이후 5년마다 주기적으로 전년 대비 감소세다. 1998년에 총 23조원 당기순손실을 내면서 전년(5조원 순손실)보다 나빠진 것을 시작으로, 2003년(-16.8%)과 2008년(-42.4%), 2013년(-30.4%) 등 3과 8로 끝나는 해에는 매번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에는 1,000대 상장사의 당기순이익이 65조1,000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 늘었다. 이른바 ‘3·8 징크스’가 깨질 가능성을 점치는 이유다.

다만 삼성전자를 제외할 경우 작년 상반기 51조2,000억원에서 올 상반기에는 48조6,000억원으로 감소하며 전반적으로는 기업의 내실이 악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미중 통상전쟁, 미국 기준금리 인상, 환율 급변동, 반도체 경기 악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내년에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적자기업 수도 대폭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오일선 소장은 “기업은 외형(매출)이 커지면서 내실(영업이익)도 갖춰야 투자와 고용 등의 선순환을 만들 수 있다”면서 “그러나 올해 영업손실을 낸 기업이 늘고, 삼성전자 등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면 순익도 줄어들면서 경기 체감온도는 확연히 떨어지는 양상”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경기 흐름을 보면 내년에 더 좋아질 것으로 볼 수 있는 지표가 뚜렷하지 않아 더 힘든 한 해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다원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