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기업 5곳 중 1곳 재무건전성 취약”…대출 151조

골든타임(3년)내 신속 정리 절차 밟아야

지난해 외부감사를 받은 기업 5곳 중 1곳은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들의 대출 규모만 151조원에 달하는데, 3년 내 경영정상화가 안될 경우 자본잠식에 이르는 경우가 많은 만큼 신속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재무취약기업이 지난해 기준 4,469개로 외감기업의 19.6%라고 밝혔다. 재무취약기업은 3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 1미만이거나 영업활동현금흐름 3년 연속 순유출, 자본잠식에 해당하는 경우다. 영업활동으로 이자도 벌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 미만 상태가 3년 이상 이어진 기업은 3,112개(13.7%)다.


3년 연속 영업활동현금흐름 순유출 기업은 1,492개(6.6%), 완전 자본잠식은 1,636개(7.2%)다. 이 중 두 가지 이상이 겹치는 경우가 복합영역 재무취약기업이다. 세 가지가 모두 겹치는 경우는 287개(1.3%)다. 재무취약기업 비중은 2014년 25%에 육박했다가 하락하는 추세다. 대기업은 크게 낮아졌지만 중소기업은 여전히 20%가 넘는다.

관련기사



재무취약기업에 제공된 금융권 여신은 150조6,000억원으로 전체 기업 여신의 20.1%다.

2016년 기준 재무취약기업이 2017년에 정상화된 사례를 보면 취약 사유가 단일한 경우(88.4%)와 재무취약 경험 기간 3년 이하(67.9%)가 대부분이었다.

한은은 재무취약기업의 재무지표가 장기간에 걸쳐 복합적으로 악화하기 전에 금융기관이 경영정상화를 위한 신속한 지원 노력을 펼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영업활동 부진이 만성화돼있고 회수유예 대출 등으로 연명하는 경우에는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