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백브리핑] 日 택시 내달부터 승차 전 요금확정

일본이 이르면 다음달부터 택시요금을 미리 손님에게 알려주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국토교통성이 택시운임 규정을 고쳐 승차 전에 미리 운임을 확정하는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허용할 방침이라고 20일 보도했다.


국토교통성은 도로교통법 관련 고시를 수정해 다음달 승차 전 택시요금 확정제도를 시행할 계획이다. 다만 택시회사가 사전에 운임을 계산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실제 시행 시기는 늦춰질 수 있다.

사전 운임 안내에는 스마트폰 배차 애플리케이션이 주로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용자가 앱에 택시를 탈 곳과 목적지를 입력하면 운임이 자동으로 계산돼 화면에 표시되는 방식이다. 운임은 거리에 따른 요금에 일정 계수를 곱해 산출한다. 사전 요금에는 교통사정 등이 미리 반영되므로 택시 탑승 후 차가 막히더라도 할증요금이 붙지 않는다.

■사전요금 확정제 도입 이유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에도 이용률↓

관련기사



할증부담 덜어 업계 불황 타개

일본 정부가 사전 확정 택시요금제를 도입하는 이유는 일본 관광객이 날로 늘어나는 와중에도 택시 이용객은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할증 우려를 덜면 택시 이용 동기가 더 커질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지난 2017년 현재 택시가 담당한 수송인원은 2000년 대비 40% 급감했다. 반면 일본을 찾는 외국인은 급증하고 있다. 일본정부관광국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3,119만명으로 2012년 836만명 대비 3.7배나 늘었다. 자가용을 운전할 수 없는 고령자까지 고려하면 이동수단이 필요한 내외국인이 상당수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택시 업계는 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오는 2020년 도쿄올림픽에 앞서 교통난을 예방하기 위해 규제를 풀고 앱 기반 택시 및 공유차량 이용을 적극 권장할 필요성도 커졌다. 일본 정부가 최근 택시 합승을 전국적으로 합법화하려는 것도 이러한 취지에서다. 신문은 미국과 아시아에서 모빌리티 혁명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디지털 시대를 대비한 개혁에 발 벗고 나서지 않으면 모빌리티 혁신에서 뒤처질 수 있다. 대담한 규제개혁을 통해 세계적 변화를 따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