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소련 핵무기 해체’ 이끈 루거 전 美 상원의원 별세

핵폐기 기술·자금지원 ‘넌-루거법’ 발의




옛소련 해체 후 남은 핵무기의 폐기 프로그램을 이끈 미국의 ‘넌·루거법’ 발의자인 리처드 루거(사진) 전 연방 상원의원이 28일(현지시간) 별세했다. 향년 87세.

AP통신에 따르면 루거센터는 루거 전 의원이 이날 오전 버지니아주에 있는 병원에서 말초신경에 대한 희귀 자가면역 장애인 만성염증성탈수초성다발성신경병증(CIDP)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공화당 소속이던 루거 전 의원은 지난 1991년 ‘위협 감축 협력 프로그램(CTR)’으로 알려진 넌·루거법을 민주당의 샘 넌(80) 상원의원과 함께 발의했다. 이 법은 소련의 붕괴로 자국 영토에 핵무기를 갖게 된 카자흐스탄·우크라이나·벨라루스 등 비자발적 핵보유국의 핵무기와 화학무기·운반체계 등을 폐기하기 위해 기술과 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미국은 이 프로그램에 따라 4년 동안 총 16억달러 규모의 정부 예산을 마련해 해당 국가들을 지원하고 이들이 보유한 수천 기의 핵탄두와 미사일 등 핵전력을 러시아로 넘겨 폐기했다.

관련기사



‘카자흐스탄 모델’로도 불린 넌·루거법은 북핵 해법의 한 가지 대안으로도 주목받았다. 북한에 자금과 기술을 지원하는 대신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WMD)를 폐기하고 핵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의 재훈련과 재취업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고인은 1968년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시장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이어 1977년부터 2013년까지 36년간 연방 상원의원을 지냈으며 상원 농업위원장과 외교위원장을 역임했다. 김창영기자 kcy@sedaily.com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