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손학규 “文대통령, 도무지 통합 의지 있는지 의심”

7일 최고위원회의 통해

오신환도 “호국 영령에 대한 모독”

‘김원봉 추념사‘ 놓고 한목소리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김원봉 서훈 논쟁’을 불러일으킨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도무지 대통령이 국민 통합의 의지가 있는지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비판했다.

손 대표는 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원봉 서훈 추서 논쟁이 있었고 날짜와 자리가 현충일 현충원이었다는 점에서 적절했는지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6·25 전쟁으로 희생된 전몰장병이 안장된 곳에서, 그분들이 추모하기 위해 묵념한 자리에서 대통령은 이런 사람을 좌우 통합의 모범으로 인정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6일 문 대통령은 64차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광복군에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 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말했다.


또 손 대표는 대통령에게 ‘통합’의 역할을 당부했다. 그는 “독재자의 후예 등 발언이 그 취지에도 불구하고 사회 통합에 역행하고 있다”며 “대통령은 자기 신념을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고 통합을 지향해야 한다. 그 모든 발언에서 중시해야 할 것은 사회·정치·국민 통합임을 유념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오신환 원내대표 역시 문 대통령의 발언이 부적절했다고 역설했다. 오 원내대표는 “아무리 좋은 말도 때와 장소가 있는 것”이라며 “전몰장병을 추모하는 날 한국전쟁 당시 북한의 고위직을 지내고 훈장을 받은 분을 언급하는 것은 호국 영령에 대한 모독의 다름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념 갈등을 부추기지 말고 역사인식을 바로 가질 것을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하태경 최고위원은 “김원봉이 국군의 뿌리라는 건 전두환이 민주당의 뿌리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전두환이 민주화 운동을 탄압했듯 (김원봉은) 국군에 맞서 싸운 사람이다. 6·25 훈장까지 받은 김원봉을 국군의 뿌리라고 언급한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김인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