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日의 한국 수출, 아시아 경제 효율성 희생시켜…세계 경제 장애물”

한미경제硏 수석국장…“日의 어떠한 수출 규제 조치도 파급 효과”

日 기업도 이미 타격…화학업체 생산 줄이고 화장품 업체도 압박

각자의 자리로 향하는 한일 외교장관/연합뉴스각자의 자리로 향하는 한일 외교장관/연합뉴스



일본의 ‘한국 수출규제 조치’가 수십 년간 구축해온 아시아태평양 지역 공급 사실의 효율성을 희생시킬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미경제연구소(KEI)의 트로이 스탱거론 수석 국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한일 갈등과 그에 따른 수출 규제 조치들이 장기적으로 볼 때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그 너머에 걸쳐 수십 년간 구축한 공급 사슬을 통해 확보한 효율성을 희생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는 글로벌 경제에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스탱거론은 한일 갈등으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한국인의 일본 관광 분야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봤다. 또 중기적으로는 신뢰 약화로 양자 간의 외국인직접투자(FDI)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이어 반도체 제조에 미치는 영향에만 많은 관심이 몰려 있지만 한국의 또 다른 핵심 수출 부문인 석유화학 산업에도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한산한 일본행 항공기 탑승수속/연합뉴스한산한 일본행 항공기 탑승수속/연합뉴스


스탱거론뿐 아니라 글로벌 전문가들 역시 한일 갈등이 여러 부문에서 양국 경제를 훼손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의 자산관리업체 위즈덤 트리 인베스트먼트의 수석고문인 제스퍼 콜은 미국의 경제전문채널 CNBC를 통해 “일본의 한 화학업체의 경우 10년간 한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무척 노력했는데 이제 갑자기 사실상 보이콧을 당했고 급격히 생산을 줄이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콜은 또 “일본 화장품 업체들 역시 지난 2년간 한국의 수요 증가 덕에 10% 이상의 판매 증가를 누렸는데 이제 한국 여성들의 ‘소비자 파업’을 느끼기 시작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