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초고속통신용 시스템반도체 소재 국산화 추진

2022년까지 30억 투입…인듐갈륨비소 에피웨이퍼 등 개발

경기도는 시스템 반도체 소재 국산화를 위해 오는 2022년까지 30억원을 들여 한국나노기술원과 함께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 연구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도는 초고속통신에 사용되는 인듐갈륨비소(InGaAs) 에피웨이퍼와 이를 이용한 초고속 통신소자(HEMT)를 개발할 계획이다.

인듐갈륨비소 에피웨이퍼는 갈륨비소, 실리콘웨이퍼 등 물질표면에 별도 화합물 반도체층을 성장시킨 것으로, 현재 사용되는 실리콘 웨이퍼보다 다양한 기능과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반도체 소재다.


5G, 사물인터넷(IoT), 자율자동차 등 4차 산업혁명 실현을 위한 핵심부품 제작에 사용되는 소재인 만큼 수요가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기사



하지만 많은 개발비용과 연구인력, 인프라 등으로 중소기업 차원의 개발이 어려워 미국, 일본 등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도는 이번 개발비 지원을 통해 나온 성과를 중소기업과 대학, 연구소에 제공해 시스템반도체 소재 독립 및 중소기업 매출 증대를 도모할 방침이다.

최병길 경기도 과학기술과장은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인듐갈륨비소 에피웨이퍼와 초고속 통신소자를 국산화하게 될 경우 시스템 반도체 소재 독립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중소기업의 매출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반도체 기술 독립을 위해 해외의존도가 높은 소재 부품의 국산화 연구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