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해빙기 사고위험지역 1만3,000곳 점검

급경사지의 옹벽상태·낙석 가능성 등 점검

서울 서대문구 관계자들이 해빙기를 맞아 급경사지에 대한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서대문구 관계자들이 해빙기를 맞아 급경사지에 대한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해빙기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급경사지와 소규모 공공시설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벌인다.

행정안전부는 17일부터 붕괴위험이 높은 급경사지 7,053개소와 소규모 위험시설 5,828개소 등 1만2,881개소를 점검한다고 밝혔다.


급경사지는 비탈면 시설과 옹벽 상태, 낙석 발생 가능성 등을 살피고 소규모 위험시설은 유지관리 상태와 주변 장애물 현황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경미한 이상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조치하고 위험성이 큰 경우 정밀안전진단을 거쳐 보수·보강한다. 점검 결과는 관리기관별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행안부는 당초 전국 7만여곳의 급경사지·소규모 위험시설을 전수 점검하려 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에 지방자치단체가 집중할 수 있도록 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우선 점검하기로 했다.

김종한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해빙기가 다가오면서 집 주변 절개지나 축대 등의 시설 붕괴가 우려 된다”며 “이번 점검대상에서 제외된 시설은 향후 코로나19 관련 상황이 안정되면 추가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