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20~30대 초보 개인투자자들이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에서 활동하는 ‘스타 투자자’들의 도움을 받아 주식투자에 뛰어들고 있는 이른바 ‘동학개미운동’이 미국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는 3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성행하고 있는 2030 밀레니얼의 재테크 열풍을 집중 조명했다. 신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시장 변동성과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들의 독려에 힘입어 세계적으로 초보 투자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특히 한국이 개인 투자자들의 ‘중심부’(major center)가 됐다고 진단했다.
신문은 특히 인구당 주식 거래계좌 숫자로 한국이 미국의 2배에 달한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실제 지난 4월 현재 한국에서 개인이 보유한 주식 거래계좌는 3,125만개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이를 5,160만명(2018년 세계은행 기준)의 인구수로 나누면 1인당 0.61개의 계좌를 가진 셈이다. 반면 인구 3억2,700만명의 미국의 개인 주식계좌 수는 1억200만개로 한국의 절반 수준인 인구당 0.31개에 그친다.
WSJ의 분석에 따르면 새로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개미’ 투자자들은 과반이 2030 청년 세대다. 이미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저성장과 저금리, 낮은 인플레이션이라는 경제 환경에 직면한 젊은 세대가 고수익을 찾아 주식시장을 노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WSJ는 한국 청년들의 목소리를 통해 현상을 해석했는데, 일례로 지난 3월 첫 주식계좌를 개설한 최모(31)씨는 WSJ에 “일생에 한 번뿐인 기회였다. 그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또 해외 선물투자 안내로 유명한 한 유튜브 채널을 보고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에 투자한 김모(26)씨는 초반에 1억7,000만원의 거금을 벌었다가 유가 폭락으로 대부분의 수익을 날렸지만 직장에서 받는 월급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김씨는 “직장이 있어서 다행이지만 한달에 240만원도 못 번다. 내 월급은 나이가 더 많은 직장동료들과 비슷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다른 곳에서 좋은 수익을 내지 못할까봐 걱정스럽다.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집 한 채도 살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WSJ는 현상에 대해 엇갈리는 평가도 보도했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관련 정보에 충분히 접근할 수 없고 투자 경험도 일천한 20∼30대 연령층이 주식시장에 그냥 뛰어드는 것은 우려스럽다”며 “주식시장은 코로나19 확산 때문에 변동성이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베어링자산운용 한국주식 부문 책임자인 최현씨를 인터뷰해 “젊은 세대는 코로나19로 느려진 성장 속도와 제로에 가까운 금리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를 배우고 있다. 그것이 청년층을 수익률이 높은 자산 투자로 내몰고 있는 것”이라는 평가도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