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인터넷銀·빅테크업체도 인재 확보戰 가세

케이뱅크 대규모 인력충원 진행

카카오뱅크 기획 등 경력자 모집

라인비즈플러스 등도 채용 러시




인터넷전문은행이 금융 사업을 확대하고 빅테크들이 금융업에 적극 진출하는 가운데 인재 발굴 경쟁도 가열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금융업의 성공이 사실상 인재에 달려있다며 기존 금융권에 맞서 경쟁력 있는 인재를 확보하는 데 적극적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이달 영업 정상화를 목표로 대규모 인력 충원에 나섰다. 케이뱅크는 지난 2017년 출범 이후 일부 채용을 진행했지만 이번처럼 9개 분야에 걸쳐 경력 채용에 나선 것은 올 들어 처음이다. 채용 분야는 △UX(사용자 경험) 기획 △UI(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여신사후관리 정책 △자금세탁방지 모니터링 △신용리스크 관리 △뱅킹앱 QA △마케팅 브랜드 디자인 △Anti-Fraud 담당 △총무 담당 등이다.

옥성환 케이뱅크 경영기획본부장은 “영업 정상화와 함께 추진하는 채용인 만큼 상품, 서비스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분야에서 인재를 뽑겠다”며 “기존과는 달라진 케이뱅크의 모습이 사용자에게 체감되도록 UX/UI 디자인을 뽑는 것도 이 때문이다”고 말했다. 출범 3년 만에 흑자를 낸 카카오뱅크도 정보통신(IT) 분야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한단계 업그레이드할 경력자를 모집하고 있다. 공채 없이 수시채용으로 인력을 충원하는 카카오뱅크가 이번에 모집하는 직무는 45건이나 된다. 여신 심사 및 기획, 카드 프로세스 기획 및 운영 담당자, 선불전자지급수단 기획 및 운영 담당자 등이 주요 대상이다.


인터넷전문은행 뿐만 아니라 최근 금융업을 추진하는 빅테크 업체에서도 금융 경험을 가진 인재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라인의 간편결제 및 금융 서비스를 담당하는 계열사인 라인비즈플러스, 라인파이낸셜플러스를 꼽을 수 있다.

관련기사



이들 회사에서는 라인 메신저를 기반으로 보험, 대출, 간편결제, 투자 등 서비스를 하는 만큼 글로벌 페이먼트 서버 개발, 암호화폐 거래소 개발, FDS(이상거래탐지) 시스템 서버 개발 등에서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가 주로 국내보다 베트남, 태국 등 해외에서 주력으로 활동하는 점을 고려해 글로벌 의사소통 능력이 직무 관련 능력 외에 주요 조건으로 중요하게 본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 우려로 모든 전형은 비대면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은행으로 시중은행을 다 제치고 카카오뱅크가 1위에 오를 정도로 요즘 취업준비생들이 보는 시각도 많이 바뀌었다”며 “취업준비생 입장에서는 취업의 기회가 갈수록 더 많아지는 셈”이라고 언급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