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두산重 1.3조 유상증자…대주주, 퓨얼셀 지분도 무상증여

■ 두산그룹 구조조정 속도전

두산솔루스·모트롤사업부 매각

1.1조 마련해 중공업에 수혈

박정원 회장 등 책임경영 위해

퓨얼셀 지분 23%도 넘기기로

3조원대 자구안 속도내지만

인프라코어 매각 등 산넘어 산

0516A13 두산그룹자구안이행실적야근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는 두산그룹이 두산중공업에 1조3,000억원을 유상증자하고 ㈜두산의 유압기기 사업부인 모트롤과 동박 생산업체인 두산솔루스를 매각한다. 두산 대주주는 두산퓨얼셀 지분 23%(5,740억원)가량을 두산중공업에 무상증여하기로 했다. 책임경영 차원에서 사재출연을 결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두산그룹이 추진 중인 3조원 규모의 자구안 이행에 탄력을 받게 됐다.

두산중공업 1.3조 유상증자 실시




두산중공업은 4일 이사회를 열고 1조3,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또 ㈜두산은 이날 모트롤사업부를 소시어스-웰투시컨소시엄에 4,530억원에, 자회사 두산솔루스 지분 18.05%를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에 2,382억원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대주주가 보유한 두산솔루스 지분 34.88%도 4,604억원에 매각된다. 두산그룹 측은 “모트롤과 두산솔루스 매각대금은 두산중공업 유상증자 자금으로 활용되며 두산중공업은 증자받은 자금 대부분을 차입금 상환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박정원(사진) 두산그룹 회장 등 ㈜두산 대주주들은 보유하고 있는 두산퓨얼셀 지분 23%를 두산중공업에 무상증여하기로 했다. 두산그룹의 한 관계자는 “책임경영 차원의 사재출연”이라고 했다. 두산중공업은 이를 통해 두산퓨얼셀의 최대주주로 등극한다. 두산중공업은 1조3,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듀산퓨얼셀 지분 무상증여까지 받으면서 재무구조 개선 효과를 누리게 됐다. 이로써 두산그룹은 연내 두산중공업 1조원 유상증자라는 큰 산을 넘게 됐다. 두산그룹은 오는 2023년 5월까지 3조원 규모의 자구안을 모두 이행해야 한다. 두산중공업은 국책은행으로부터 지난 3월 말 3조6,000억원을 지원받았으며 지난달부터 차입금 상환에 나서고 있다.

관련기사



두산중공업은 지난달 초 골프장 클럽모우CC 매각을 완료하고 차입금을 처음으로 상환했다. 매각대금 1,850억원 중 회원권 입회보증금 반환 비용 등을 제외한 1,200억원을 갚은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그룹은 같은 달 네오플럭스를 신한금융지주에 매각해 730억원을 마련했다.

인프라코어 매각 성사 여부가 관건



두산그룹은 현재 두산건설과 두산타워 매각도 진행하고 있다. 마스턴투자운용과 그룹 사옥인 두산타워 매각을 위한 막바지 협상을 벌이고 있고 두산건설 역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다. 두산그룹이 자구안 이행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은 많다. 무엇보다 캐시카우인 두산인프라코어 매각 성사 여부가 자구안 이행의 성사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산인프라코어 인수후보로 한화와 현대중공업그룹이 거론되고 있지만 양측은 “인수를 검토한 바 없다”는 입장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달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을 진행한다.

인프라코어의 가격과 소송 리스크가 매각의 걸림돌이다. 자회사인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는 재무적투자자(FI)와 각각 100억원, 7,051억원 규모의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가 최종 패소하면 최대 1조원에 달하는 돈을 지급해야 한다. 알짜 자회사인 두산밥캣이 빠진 것도 문제다. 재계 관계자는 “탄탄한 영업이익을 올려온 두산밥캣을 분리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는 매물로서 매력이 떨어진다”고 했다.

두산그룹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두산중공업의 재무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가스터빈, 신재생에너지, 차세대 중소형원자로, 수소, 연료전지 사업 중심의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의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구안 이행에 따른 경쟁력 약화 목소리를 경계한 것으로 보인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