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바이오 경제시대 이끌어갈 ‘산림약용소재은행’ 구축

국립산림과학원, 2030년까지 400종 4,000점 자생 약용소재은행 구축

체계적인 약용소재 수집·보존·관리 통한 산업화 지원

국립산림과학원이 추진중인 산림약용소재은행 구축 체계도.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국립산림과학원이 추진중인 산림약용소재은행 구축 체계도.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바이오 경제시대를 이끌어 갈 ‘산림약용소재은행’이 구축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바이오산업의 선제적 대응과 우리나라 약용자원의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림약용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약용소재은행은 저온저장시설, 표본실 등을 갖추고 있고 자생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지역별·개체별·군락별·부위별 추출물부터 확증표본, 종자까지 통합적으로 수집·보존·관리해 대량생산 연구 및 약용소재의 산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현재까지 자생 약용식물 느릅나무, 상동나무, 독활, 소태나무, 지리강활, 산수국, 댕댕이나무, 사철쑥, 어수리 등 약용소재 30종, 종자 132종을 확보했고 2030년까지 400종 4,000점을 구축해 약용자원 소재 분야에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약용자원 식물은 총 1,504종류, 자생산림약용식물은 총 1,013종류로 이중 활발히 연구개발중인 약용소재 식물은 약 10% 정도인 100∼150종 정도이다.

약용소재은행에서는 미연구된 약용자원의 기능성 평가 및 고부가가치 약용자원 창출을 위한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며 국산 약용자원의 활용도를 증진하여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가치를 높이는 것에 기여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손호준 박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다양한 용도의 약용소재를 발굴해 임업농가와 산업계뿐만 아니라 국민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