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범야권' 모임 국민미래포럼, 안철수 이어 진중권 강연

진중권, 20일 국민미래포럼서 초청 강연

황보승희 "범야권 모임, 다음 타자는 진중권"

그 다음 타자는 유승민…"아직 일정 확정 안돼"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의 초당적 연대로 이루어진 ‘국민미래포럼’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에 이어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를 다음 초청강사로 초빙한 것으로 8일 확인됐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연합뉴스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연합뉴스



‘국민미래포럼’은 권은희 국민의당 원내대표와 황보승희 국민의힘 의원이 주도하는 국회의원 연구모임으로 범야권 의원 30여 명으로 구성됐다. 앞서 6일에는 안 대표가 첫 강연 타자로 나서 ‘반문연대’ 제안에 선을 그으며 “야권 재편으로 새로운 혁신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며 “(그래야) 중도뿐 아니라 합리적 개혁을 바라는 진보까지도 다 포괄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미래포럼 세미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혁신과제와 미래비전’에 참석, 강연하고 있다./연합뉴스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미래포럼 세미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혁신과제와 미래비전’에 참석, 강연하고 있다./연합뉴스


해당 포럼은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접촉점을 넓혀가면서 범야권 연대의 초석을 다질 수 있는 공간이다. 지난 6일 김성원 국민의힘 원내 수석부대표가 직접 안 대표에게 ‘야권의 새 플랫폼에서 안철수의 역할은 무엇인가’라고 질문을 던지면서 서로의 생각을 확인하기도 했다. 당시 안 대표는 “정권교체를 위해 어떤 역할이든 할 각오”라고 답했다.


황보승희 국민의힘 의원은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국민미래포럼은 범야권 모임”이라며 “국회가 개원하자마자 형성됐는데 그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활동을 못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필두로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와 유승민 전 의원의 강연도 준비돼 있다”고 소개했다. 오는 20일 진 전 교수가 국민미래포럼에서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의원들 앞에서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유 전 의원의 강연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김성원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와 정진석 의원이 지난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미래포럼 세미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혁신과제와 미래비전’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의 강연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김성원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와 정진석 의원이 지난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미래포럼 세미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혁신과제와 미래비전’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의 강연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진중권 전 교수는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국회에서 조그만 모임에 초청돼 강연하는 것 뿐”이라며 “강연 내용은 아직 안 정했다”고 밝혔다. 현재 보수정당에서 대선 후보 배출을 위한 ‘빅텐트’ 전략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는 만큼 진 전 교수가 야권의 ‘빅텐트’ 형성 조건과 방법에 대한 뼈 있는 분석을 낼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진 전 교수는 지난 5월에도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과 오신환 전 의원이 주최한 ‘제21대 총선을 말하다. 길 잃은 보수정치, 해법은 무엇인가 토론회’에 참여해 총선에서 패배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을 향해 ‘뼈 때리는 독설’을 쏟아낸 바 있다.

그는 “당 대표가 황교안이었다. 이것만 봐도 탄핵의 강을 못 넘은 것”이라며 국민의힘이 대안세력으로 인정받지 못한 배경을 진단했다. 이어 “결국 통합당에 태극기 보수 유튜버만 남았다”며 “혁신하지 못해 그들에게 의존하고, 여론 헤게모니를 넘겼다. 무조건 지지하니 안주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통합당은 뇌가 없다”며 무너진 여의도연구원의 싱크탱크로서의 역할도 꼬집었다.

이에 오 전 의원은 당시 기자들과 만나 “수도권 출마자인 토론회 참여자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수긍했다.

김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