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극저신용대출자 5개월 만에 조기상환 많아…지난달말 기준 75명




# A씨는 실직 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하지 못해 통신비·월세 등을 연체하며 일시적인 경제적 어려움에 부닥쳤지만, 경기 극 저신용대출을 통해 50만원을 얻어 통신비와 월세 일부를 낼 수 있었다. 대출 이후에도 꾸준한 구직활동으로 일자리를 얻은 그는 정기적인 소득이 발생하자 대출금 50만원을 조기상환했다. A씨는 “50만원이라는 소액일지라도 실업 상태로 급전이 필요하던 시기에 신속하게 지원받아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었다”며 감사를 표했다.

A씨처럼 ‘경기 극 저신용대출’을 받은 사람 가운데 대출 후 5개월이 안 돼서 조기 상환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극 저신용을 받은 사람들이 제때 돈을 갚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불식된 셈이다.

도는 코로나19로 생계가 어려운 저신용자에게 긴급 생계자금을 지원하는 ‘경기 극저신용대출’ 사업을 추진 중이다.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경기 극저신용대출 조기상환자는 모두 75명이다. 74명은 50만원 소액대출자였으며, 나머지 1명은 300만원 대출자다.

관련기사



‘경기 극저신용대출’은 신용등급 7등급 이하 도민에게 연1% 이자 5년 만기로 50만 원을 무심사 대출해 주는 사업으로 심사를 거치면 300만원까지 가능하다.

도는 올해 5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지난 4월(1차)과 7월(2차) 두 차례에 걸쳐 경기 극저신용대출을 실시했으며 1차 3만6,598명과 2차 1만5,877명 등 총 5만2,475명에게 322억을 지원했다.

이병우 경기도 복지국장은 “경기도가 극저신용자를 대상으로 무심사 대출을 한다고 했을 때 일부 돈을 떼이거나, 도덕적 해이 우려가 있기도 했다”면서 “대부분 서민은 위기의 순간을 넘길 수 있는 조그만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도민들의 선의를 믿고 사업을 계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