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물량 부족으로 전셋값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상승폭이 올해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의 연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뛰었다. 지방도 부산·울산 등 광역시와 도 지역을 가리지 않고 크게 올랐다. 전세난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공급 부족 문제는 내년까지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전세난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11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2,390만원 올라…역대 최고상승 |
이는 올해 최저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1년 동안 받는 연봉보다도 많은 액수다.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8,590원, 월급으로는 179만5,310원으로, 연봉으로 환산하면 2,154만3,720원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상승액이 최저임금 기준 연봉보다 238만원 가량 많은 것이다.
세입자 권리를 강화한 새 임대차법이 본격 도입된 8월 이후 제도 초기 부작용으로 전세 매물 잠김 현상이 심화하면서 이같은 전셋값 폭등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세입자 대부분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기존 주택에 2년 더 거주하며 시중에 나오는 전세 물건이 급감했다.
이와 함께 전월세상한제로 전셋값을 2년에 5% 이상 올리지 못하게 된 집주인들이 4년 치 보증금을 미리 올려받으려 하면서 전셋값이 급등하는 현상은 곳곳에서 확인된다. 이런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8월 5억1,011만원으로 처음 5억원을 돌파했고,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지난달까지 4개월 동안 6,146만원이 오르는 등 급등했다.
KB 평균 전셋값 통계 작성 이후 월간 전셋값이 1,000만원 이상 오른 것은 단 4번인데, 2016년 1월(1,941만원)을 제외하면 나머지 3번은 모두 올해 8월(1,089만원), 10월(1,971만원), 11월 등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에 집중돼 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올해 들어 11월까지 8,632만원 올랐는데,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8∼11월 4개월 동안 상승액이 전체 상승액의 71.2%(6,146만원)에 달한다.
송파·강남·성동구 전셋값 급등…강북구도 평균 4억원 돌파 |
이 때문에 전체 평균 전셋값과 ㎡당 전셋값을 맞춰 비교하면 구별 전셋값 추이도 파악할 수 있다. ㎡당 평균 전셋값을 국민주택 규모보다 조금 큰 전용면적 86.7㎡ 아파트에 적용하면 5억6,068만원으로, 평균 전셋값과 같은 수준이 된다.
전용 86.7㎡ 아파트를 기준으로 보면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건 송파구였다. 이 지역에선 지난달 전셋값이 평균 4,574만원 올랐다. 이어 강남구가 평균 4,270만원 올라 뒤를 이었고, 성동구(2,910만원), 마포구(2,760만원), 강동구(2,727만원), 강서구(2,719만원), 용산구(2,542만원), 양천구(2,480만원) 등 순이었다.
학군·교통 등의 이유로 인기 지역으로 꼽히는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 등을 중심으로 전셋값 상승세가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기준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비싼 지역은 강남구로, 86.7㎡짜리 전세 아파트를 얻는데 평균 9억4,951만원이 필요했다. 서초구가 8억6,044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송파구에서 같은 평형 아파트를 전세로 얻으려면 6억7,310만원이 필요했고, 성동구는 6억4,368만원, 중구는 6억3,059만원, 광진구는 6억2,808만원, 마포구는 6억1,596만원, 용산구는 6억559만원이 들었다. 전셋값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도봉구로 나타났다. 이 지역에서 86.7㎡ 아파트 기준으로 평균 전세값은 3억6,239만원이었고, 금천구(3억7,968만원), 노원구(3억8,668만원), 중랑구(3억9,539만원)가 4억원 미만이었다.
10월까지 86.7㎡ 아파트 기준 평균 전셋값이 4억원을 밑돌던 강북구는 지난달 4억332만원으로 전달보다1.128만원 오르며 ‘4억원 미만 지역’에서 벗어났다.
경기 아파트 전셋값 3억 돌파…지방 전셋값도 큰폭 상승 |
울산은 지난달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1억9,055만원으로 전달보다 1,365만원 뛰었다. 최근 4개월간 상승액은 2,740만원으로 올해 전체 상승액의 절반가량(49.8%)이 최근 4개월 동안 올랐다. 부산의 최근 4개월간 아파트 전셋값이 974만원 올랐다. 이는 올해 전체 상승액(1,219만원)의 79.9%에 해당하고, 대구는 1,321만원으로 올해 전체 상승액의 75.6%와 맞먹는다.
상반기까지 전셋값 안정세를 보였던 도 단위 지역도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강원은 올해 들어 11월까지 아파트 전셋값이 평균 337만원 올랐는데, 최근 4개월 동안 전체 상승액의 무려 92.6%(312만원)가 올랐다. 경북도 11월까지 415만원 오른 가운데 전체 상승액의 80.8%(336만원)가 최근 4개월에 올랐다.
전국적으로 전세 불안이 지속되자 정부가 지난달 공급 확대를 기조로 전세 대책을 내놨지만, 민간 연구기관들은 내년에도 전셋값 상승이 계속될 것으로 우려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내년 상반기까지 전세난이 지속되면서 전셋값이 전국적으로 4% 오르고, 수도권은 5%, 서울은 3% 각각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도 전세 물건 부족으로 내년 전셋값 상승률이 올해(4.4%)보다 더 확대된 5.0%에 이를 전망이라고 추산했다. 권주안 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3기 신도시 등 공급 확대와 사전청약 적용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실제 입주가 5년 이후에야 가능하기 때문에 전세시장 불안 장기화는 당분간 불가피해 보인다”면서 “내년 하반기 이후에 전셋값이 안정되면서 전세난이 진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장덕진 인턴기자 jdj1324@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