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낙연 복귀…검찰개혁·秋-尹갈등 해법에 주목

코로나 음성 판정…국정원법·경찰법 이어 공수처법 처리할듯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연합뉴스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연합뉴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주간의 자가격리를 마치고 3일 일선에 복귀했다. 당면한 상황은 녹록지 않다. 정기국회가 끝나는 일주일 안에 권력기관 개혁 입법을 마무리해야 하고, 날로 여론이 악화하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 간의 갈등 해법도 모색해야 한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자가격리를 마치고 오후에 국회로 출근한다”며 “그동안 국민 여러분께 걱정을 드려 송구하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국민들께선 하루하루가 힘겹다”며 “국민께 정치가 희망을 드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적었다. 전날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는 점도 함께 소개했다.

관련기사



이 대표는 첫 공개 일정으로 상임위 간사단 연석회의를 열어 입법 과제를 점검할 예정이다. 특히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법 처리에 대한 의지를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개혁의 당위성을 설명하며 국민적 공감대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 당 관계자는 “국정원법, 경찰법은 소관 상임위를 통과해 본회의만 앞두고 있고 이제는 공수처법이 남았다”며 “공수처법 개정과 공수처 출범으로 검찰개혁에 종지부를 찍겠다는 취지의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 대표를 포함한 당 지도부는 윤 총장 거취 문제와 관련해선 일단 법무부 징계위 절차를 기다리자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윤 총장에 대해 신속한 징계를 촉구하고 국정조사 카드까지 거론했던 것에 비하면 다소 속도를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추-윤 갈등 구도로 인해 자칫 검찰개혁이라는 본질까지 훼손될 수 있는 상황에서 일단 제도적 개혁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다. 지난 1일 법원과 법무부 감찰위가 윤 총장의 직무를 정지시킨 추 장관의 조치가 부당하다며 모두 윤 총장의 손을 들어줬다는 점에서 징계가 진행되더라도 절차적 정당성을 지키며 이뤄져야 한다는 공감대가 당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추 장관 거취를 두고 다양한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이 대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삼가고 있다. 다만 현재의 정국 상황을 두고 당청 간 소통 채널을 통해 긴밀히 협의하며 해법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혜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