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시스템 반도체, 미래 차, 바이오헬스 등 이른바 ‘빅(BIG)3’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민간 협의체를 새로 구성했다. 정부는 정책 지원을 바탕으로 오는 2025년까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시장 글로벌 점유율 25%, 미래 차 133만 대 보급, 바이오헬스 수출액 300억 달러 등의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시스템 반도체, 미래 차, 바이오헬스 등 빅3 산업에 대해 지난해 소재·부품·장비 대책에 버금가는 각별한 육성 대책을 추진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이를 위해 홍 경제부총리가 위원장을 맡는 소규모 혁신성장전략회의 성격의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신설한다. 관련 회의는 이달 중순 1차 회의를 시작으로 격주로 정례 개최될 예정이다.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금융위원회 등 5개 부처 장관 외에 빅3 업계, 전문가 6명이 참여한다. 산하에는 △미래 차 △바이오헬스 △시스템 반도체 △혁신 기업 1,000 특별분과 등 총 4개 분과를 둔다.
정부는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통한 빅3 육성 세부 계획도 이날 공개했다. 미래 차 분야에서는 전기·수소차 구입을 위한 연료 보조금 개편을 비롯해 수소 충전소 운영비 한시 지원, 자율 주행 데이터 공유 체계 마련, 수소 충전소 인허가 한시 특례 등에 나선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친환경 차 판매 비중을 10%로 높이는 한편 조건부 자율 주행이 가능한 ‘레벨3’ 자율 주행차를 내놓겠다는 방침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2조 2,000억 원을 들여 국가 신약 개발 연구개발(R&D) 사업에 착수하는 한편 바이오펀드를 조성해 자금 공급을 늘릴 방침이다. 또 의료 데이터 개방 확대에 나서고 바이오 공정 인력 양성 센터도 구축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2년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액 200억 달러를 넘어서는 한편 바이오헬스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3%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반도체 분야는 차세대 반도체 R&D 사업에 1조 원을 투자하고 반도체 업체의 공장 설립 시 각종 어려움 해소를 돕는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반도체 부문에서 파운드리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를 2022년 넘어서는 한편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시장 점유율도 3%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부는 또 관련 회의에서 잠재력 있는 중소·벤처 기업 1,000곳을 선정해 지원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프로젝트’도 집중 점검한다. 현재 279개인 혁신 기업을 추가로 발굴하는 한편 정책 금융 지원 및 각종 어려움 해소 체계 구축 등에 나선다.
홍 부총리는 이날 화이트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 △화이트 바이오 고부가가치화 △상용화 및 사업화 지원 등의 계획도 공개했다. 정부는 친환경 소재 유망 중소·벤처 기업의 사업화를 위해 3년간 최대 3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소프트웨어(SW) 산업 성장을 위해 △하도급 감독 대상 확대 등을 통한 일하는 환경 개선 △민간투자형 SW 사업 제도 도입 통한 SW 기업 성장 지원 △인공지능(AI) 대학원 등을 통한 SW 성장 기반 조성에도 나설 방침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5년까지 10만 명의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확산 및 방역 강화, 산업활동 주춤 등으로 경제 제약 흐름이 보인다”며 “이럴 때일수록 우리 성장 경로가 한 단계 ‘점프업’할 수 있도록 ‘혁신 성장의 엔진’을 더욱 힘차게 돌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양철민기자 chopi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