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은의 경고 “고용 없는 경기회복 현실화된다”

신흥국·대면서비스업·저소득층에 영구적 충격

외환·금융위기 때보다 고용 회복 속도 더딜 듯

실물·금융 괴리 커지면 금융 충격 발생할 수도

한국은행 앞 /연합뉴스한국은행 앞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취업유발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업종에 피해가 집중되면서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는 ‘고용 없는 경기회복’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취약계층 부진이 심화돼 실업이 늘어나고 자산 가격이 하락할 경우 이번 코로나19 충격이 금융부문까지 전이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1일 한국은행은 ‘코로나19 위기 이후의 성장불균형 평가’ 보고서를 통해 “이번 위기는 신흥국, 대면서비스업종, 취약계층에 영구적 충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성장불균형이 상당기간 지속될 수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코로나19 위기가 과거 외환위기·금융위기와 달리 신흥국에 피해가 집중될 뿐 아니라 국가 내에서도 업종이나 계층에 따라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한은은 코로나19로 인한 성장불균형이 심화되면 경기회복도 지연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코로나19로 대면서비스업 등 취업유발효과가 큰 산업 피해가 큰 만큼 고용회복 속도가 과거 위기에 비해 더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재택근무 확산 등 일자리 환경의 구조적 변화도 저임금 대면서비스 근로자의 일자리를 줄이고 장기 실업을 초래할 수 있다.

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 피해가 집중되면서 소비 회복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계층 간 소득불평등이 심화되면 가계 저축률이 높아지고 소비성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실물경기가 위축된 상황에서 최근과 같은 자산시장으로 자금쏠림 현상이 나타날 경우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취약계층 실업이 늘어난 데다 시장 기대가 조정되면서 최근 급등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경우 이번 충격이 금융부문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중장기적으로 부문 간 불균형과 양극화가 고착화되면 경제 이중구조가 심화되고 성장 기회의 불평등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창현 한은 조사총괄팀 과장은 “향후 경기회복이 더딜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단기적으로 코로나19 충격에 취약한 부문과 계층에 정책여력을 집중해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디지털 경제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이득이 사회 전반에 폭넓게 공유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