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취업 못해 부모와 산다…30대 '캥거루족' 36만명 육박

중장년층 60%가 무주택…대출 평균 4,856만원

주택 소유자 대출, 무주택의 4배…소득은 1.6배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단지 모습./연합뉴스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단지 모습./연합뉴스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만 40∼64세 중·장년층 10명 중 6명은 무주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에 빚을 진 중·장년층도 10명 중 6명꼴이며, 대출잔액 중앙값(통계 자료를 크기 순서로 줄 세웠을 때 중앙에 위치한 값)은 4,856만 원이었다.

◇중·장년 무주택 57.4%, 1주택 34.9%, 2주택 이상 7.7%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9년 중·장년층 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중·장년층 인구는 1,997만9,000명으로 내국인 총인구의 40.0%를 차지했다. 이 중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주택을 소유한 사람은 42.6%(851만명), 무주택인 사람은 57.4%(1,146만9,000명)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무주택자 비중은 0.6%포인트 줄었고 유주택자 비중은 그만큼 늘었다. 1주택자는 34.9%(696만8,000명), 2주택자는 6.0%(120만7,000명)였고 3채 이상의 주택을 가진 사람은 1.7%(33만5,000명)였다.

무주택 비중은 연령이 낮아질수록 높았고 주택 소유 비중은 그 반대였다. 주택 소유자들의 주택 공시가격(올해 1월 기준)은 6,000만원 초과∼1억5,000만원 이하가 34.0%로 가장 많았고 1억5,000만원 초과∼3억원 이하(28.5%)가 뒤를 이었다.

중장년 주택소유./통계청 제공중장년 주택소유./통계청 제공


◇56.3%는 은행빚…집 있는 사람은 빚이 무주택자의 3.9배

중·장년층의 56.3%(1,125만3,000명)는 금융권에 대출잔액이 있었다. 전년보다 대출잔액 보유자 비중이 0.2%포인트 상승했다. 사채나 임대보증금, 대부업체와 같은 제3금융권 대출 등은 포함하지 않고 명의상 대출금액만 집계한 수치다.

대출잔액 중앙값은 4,856만원으로 1년 전 4,459만원보다 8.9% 증가했다. 김진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신용대출과 담보대출 등이 전반적으로 모두 늘었다”고 말했다. 대출잔액 보유자 중 빚이 1억원 이상인 사람은 32.8%였다.

주택을 소유한 사람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9,260만원으로 무주택자(2,400만원)의 3.9배였다. 집을 사면서 빚이 늘어났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취업자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5,804만원으로 미취업자 2,709만원의 2.1배였고, 비임금근로자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8,314만원으로 임금근로자 5,000만원의 1.7배였다.

중장년 소득과 대출./통계청 제공중장년 소득과 대출./통계청 제공


◇재취업 임금근로자 54%는 월 200만원 못 벌어


지난해 근로·사업으로 번 소득이 있는 중·장년층은 75.6%(1,510만1,000명)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늘었다. 평균소득은 3,555만원으로 3.3% 증가했다. 주택 소유자 평균소득이 4,464만원으로 무주택자 2,792만원의 1.6배였다. 소득 1억원 미만까지는 은행 빚이 없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소득 1억원 이상은 은행 빚이 3억원 이상 있는 경우가 23.0%로 가장 많았다.

관련기사



2019년 10월 기준으로 중·장년층 중 4대 보험 신고 자료 등을 통해 파악된 등록취업자는 63.9%(1,276만명)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늘었다. 임금근로자가 77.9%, 비임금근로자가 18.8%, 임금근로와 비임금근로를 병행하는 경우가 3.4%다.

전체 중·장년 인구 중 1년 전에는 미취업 상태였으나 지난해 취업한 사람은 6.7%, 1년 전 취업 상태였으나 지난해 일자리가 없는 사람은 6.9%였다. 일자리를 새로 얻은 중·장년 임금근로자 77만7,000명의 월 평균임금은 238만원이었다. 54.0%는 임금이 월 2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월 100만원 미만은 11.4%, 100만원∼200만원 미만은 42.6%, 200만원∼300만원 미만은 27.0%, 300만원∼400만원 미만은 9.7%, 400만원∼500만원 미만은 4.6%, 500만원 이상은 4.7%였다. 공적연금 및 퇴직연금에 가입 중인 중·장년층은 74.6%였다.

중장년 평균소득./통계청 제공중장년 평균소득./통계청 제공


◇취업 안 하고 중·장년 부모와 사는 30대 ‘캥거루족’ 36만명

지난해 중·장년 가구주나 가구원이 사는 가구는 1,308만8,000가구로 전체 일반가구의 64.3%였다. 세대 구성은 부부와 미혼자녀로 이뤄진 경우가 37.5%로 가장 많고 1인 가구(18.4%), 부부(14.6%)가 뒤를 이었다.

아파트 거주는 55.8%로 1년 전보다 3.5%포인트 늘었고 단독주택 거주는 27.5%로 3.2%포인트 줄었다. 가구주가 중·장년인 가구 1,117만 가구 중 자녀와 같이 가구는 58.1%로 1.1%포인트 줄었다. 같이 사는 만 19세 이상 자녀 507만2,000명 중 미취업 상태인 자녀는 46.8%(237만6,000명)였다.

30세 이상 자녀 105만4,000명도 중·장년 가구와 함께 살고 있는데 이 중 미취업 자녀는 33.8%(35만7,000명)이었다. 30대 이후에도 취업하지 않고 부모와 동거하는 ‘캥거루족’이 36만명에 육박하는 것이다.

/지웅배 인턴기자 sedation@sedaily.com

지웅배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