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88서울올림픽 이후 세상은 어떻게 달라졌나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기획전

'올림픽 이펙트: 한국 건축과 디자인 8090'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서 열리고 있는 ‘올림픽 이펙트: 한국 건축과 디자인 8090’ 전시 전경.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서 열리고 있는 ‘올림픽 이펙트: 한국 건축과 디자인 8090’ 전시 전경.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88 서울 올림픽을 전후로 서울의 풍경은 확 달라졌다.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올림픽주경기장이 잠실에 자리 잡았고, 그보다 앞서 아시아 최고 높이의 마천루를 표방한 63빌딩과 산업화에 성공한 한국의 무역을 상징하는 한국종합무역센터가 들어섰다. 서울역 인근의 벽산125빌딩은 물론 백남준의 기념비적 작품 ‘다다익선’까지도 88올림픽이 있었기에 탄생했다.

이처럼 올림픽을 계기로 도시, 환경, 건축, 이미지 등이 급격히 변화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이를 주제로 1980~90년대 급성장한 한국의 시각·물질문화를 재조명하는 ‘올림픽 이펙트:한국 건축과 디자인 8090’전을 과천에서 최근 개막했다.


디자이너 듀오 진달래&박우혁의 설치작품 ‘마스터플랜:화합과 전진’이 관객을 맞이한다. 이들은 전시 시작지점인 중앙홀에 올림픽 전후 사회와 문화를 아우르는 이미지와 건축·디자인의 패턴을 중첩하고 반복해 가상의 무대를 조성했다. 전시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이 작품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평면과 입체, 정면과 측면이 중첩되는 장면을 통해 현재를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그런가 하면 주요 올림픽 개최 도시들을 기록해 온 다큐멘터리 감독 게리 허스트윗의 ‘올림픽 시티’는 올림픽 유산과 지금 일상의 공존을 기록한다.

관련기사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중앙홀에 설치된 디자이너 듀오 진달래&박우혁의 작품 ‘마스터플랜 화합과 전진’./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중앙홀에 설치된 디자이너 듀오 진달래&박우혁의 작품 ‘마스터플랜 화합과 전진’./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88올림픽 개·폐회식의 미술감독이었던 이만익의 아카이브가 최초로 공개됐으니 눈 여겨 볼 만하다. 색채계획, 공연의상, 무대장치 등 총체 예술프로그램을 기획해 한국적 정서와 아름다움을 전 세계에 보여주고자 했던 작가의 고민을 엿볼 수 있다.

올림픽주경기장을 비롯한 상징적 건물들은 모형으로 만날 수 있다. 1966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주요한 근현대사 건축물, 도시 프로젝트를 모형으로 구현해온 기흥성 뮤지엄의 소장품들이 전시됐다. 올림픽이 드러나게 촬영한 최용준의 건축 사진이 도시 표면의 표정을 담았다면 구본창의 ‘시선 1980’은 올림픽의 열기에 동조하기보다 빗겨난 도시 일상과 이면을 포착했다.

올림픽 이후 컴퓨터와 웹의 보급으로 변화된 환경, 대형빌딩과 업무 환경 변화 등은 과거인 동시에 미래를 암시한다. 전시는 방역당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에 따라 제한관람 혹은 휴관할 예정이다. 내년 4월 11일까지.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