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IM선교회 관련 비인가교육시설인 국제학교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하자 종교시설을 통한 감염위기 재발 배경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 국내 종교단체가 대체로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고 있고, 방역 당국의 관리에서 벗어난 비인가시설을 보유한 경우도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단이 부흥회, 수련회 등의 명목으로 전국에서 일시에 한 곳으로 신도들을 불러모아 비인가시설에서 예배나 교육행사를 치른 뒤 교인들이 각자 자신들의 거주지역으로 흩어지는 과정에서 일부 코로나19 감염자가 섞여 있다면 그 즉시 전국적인 감염병 대유행(팬데믹)을 초래할 수도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비인가 시설은 수면 아래에서 활동을 진행해 집단감염이 발생해도 방문자 목록을 확보하기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예배당 등 종교 시설을 크고 화려하게 짓고, 많은 신도들을 대규모로 모이게 해야 성공한 성직자로 평가하는 국내 일부 종교·종파의 관행적 문화도 방역을 무시한 대면예배를 강행케 하는 배경으로 꼽힌다. 한 은행 관계자는 “주요 종교단체들이 은행들로부터 대규모 대출을 받아 예배시설 등을 신축하거나 중측한 뒤 신도로부터 헌금, 기부를 받아 원리금을 갚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그는 “예배당을 크고, 화려하게 지어야 신자들을 많이 끌어들일 수 있다는 생각에서 크고 작은 종교단체들이 경쟁적으로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건축을 하다보니 교단 운영비가 그만큼 많이 들게 되고 무리하게 대면예배를 강행해 헌금수입을 확보하려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대면예비를 줄이거나 중단하면 신자들로부터 헌금을 받기 어려워 교단 운영비나 대출원리금 등을 충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종교단체발 집단감염은 계속 늘고 있다. 31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첫 환자 발생 후 1만1,005명이 종교시설·신천지에서 집단으로 감염됐다. 1년간 발생한 집단감염 사례 중 33%가 종교시설에서 감염된 것이다.
/심기문 기자 doo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