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화학·GS칼텍스, 썪는 플라스틱 개발 협업

향후 화이트 바이오 분야 협업 논의도

신학철(왼쪽) LG화학 부회장과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이 18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3HP 양산화 기술 개발 및 시제품 생산을 위한 공동개발협약(JDA)’ 체결식에서 체결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제공=LG화학신학철(왼쪽) LG화학 부회장과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이 18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3HP 양산화 기술 개발 및 시제품 생산을 위한 공동개발협약(JDA)’ 체결식에서 체결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제공=LG화학




LG화학이 GS칼텍스와 함께 순환 경제 및 탄소 중립을 위한 친환경 원료 기술 공동 개발에 나선다.



LG화학은 18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신학철 부회장과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을 포함해 주요 연구개발(R&D) 인력들이 참석한 가운데 생분해성 플라스틱 원료인 3HP(Hydroxypropionic acid) 양산 기술 개발 및 시제품 생산을 위한 공동개발협약(JDA)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3HP는 바이오 원료인 포도당 및 비정제 글리세롤(식물성 오일)의 미생물 발효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친환경 물질이다.

관련기사



양사는 오는 2023년부터 3HP 시제품 생산을 통해 생분해성 소재 및 다양한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진입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또 향후 화이트 바이오 분야 전반에 대한 협업 및 지속 가능한 바이오 생태계 실현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 논의하기로 했다.

신 부회장은 “탄소 중립이 글로벌 메가 트렌드로 자리잡은 가운데 지속 가능한 신소재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해 정유·화학 업계를 대표하는 양사가 협력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친환경 소재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집중해 환경과 사회를 보호할 수 있는 미래 기술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허 사장도 “미세 플라스틱이 심각한 환경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자연 생태계에 신속히 분해되는 제품은 친환경 소비를 독려한다는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며 “양사의 친환경 원료 개발 협력을 통해 순환 경제 및 탄소 저감 기여 등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역량 강화와 동시에 고부가가치 제품을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