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업종별 임금 격차 한국이 가장 심해"

경총, 韓·日·EU 임금 분석

음식점업 임금 EU·日보다 낮고

경제수준 반영 임금은 가장 높아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각국 업종별 월 임금수준. 사진 제공=경총한국, 일본, 유럽연합(EU) 각국 업종별 월 임금수준. 사진 제공=경총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 가운데 한국이 업종 간 임금 격차가 가장 크고 일본이 가장 적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일·EU 업종별 임금수준 국제 비교’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EU의 경우 자료 입수가 어려운 국가를 제외하고 15개국만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경총에 따르면 금융 및 보험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정보통신업은 한국·일본·EU에서 공통으로 3대 고임금 업종이었다.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3개국 모두에서 임금수준이 가장 낮은 업종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구매력평가 환율 기준 금융보험업과 도소매업·건설업 등 3개 업종의 월 임금 총액은 한국이 일본과 비교해 가장 많았으며 숙박·음식점업 임금은 가장 적었다. 특히 한국 금융보험업(7373달러)은 EU(6912달러)보다 6.7%, 일본(4807달러)보다 53.4% 임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숙박·음식점업(2704달러)은 EU(2858달러), 일본(2765달러)보다 임금이 낮았다.



이는 업종 간 임금 격차가 한국이 가장 크다는 의미라고 경총은 진단했다. 국가별 임금 수준 1위 업종의 임금을 100으로 가정할 때 숙박·음식점업의 임금수준은 한국이 36.7로 격차가 가장 컸다. EU와 일본은 각각 41.4, 55.5를 기록했다.

한국은 전(全) 산업 근로자의 월 임금 총액(초과급여 제외)은 4478.7달러로 EU(4534.5달러)와 비슷했고 일본(3785.8달러)보다는 많았다. 또한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 산업 평균 임금수준은 한국 118.5%, 일본 107.0%, EU 91.7% 순으로 한국이 경제 수준을 반영한 임금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경제 수준을 반영한 임금이 EU나 일본보다 한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생산성을 초과한 과도한 임금 인상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저해하고 임금 양극화 심화 같은 사회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