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매출 300대 기업 81% “올해 ESG 사업규모 늘린다”

ESG 축소한다는 답변 없어…기업들, 전문인력 확보에 역점

기업 체감 중요도는 환경→사회→지배구조 순으로 나타나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국내 매출액 300대 기업이 올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사업 예산과 인력을 확대할 전망이다.



8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매출액 300대 기업을 대상으로 ESG 사업계획을 조사한 결과 81%가 지난해보다 올해 사업규모를 늘릴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기업의 18.6%는 ESG 사업규모를 전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 답변했다. 응답기업 가운데 ESG 사업규모를 전년보다 줄이겠다고 답한 사례는 없었다. ESG 위원회 설치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88.4%가 설치(64%)했거나 설치할 예정(24.4%)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기업의 82.6%는 ESG 전담부서를 이미 운영하고 있거나(71.0%) 설치예정(11.6%)이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또한 기업들은 ESG 경험이 풍부한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조사에서 ESG 전담부서 구성원의 업무 경력이 5년 이하인 기업의 비중은 93.3%에 달했다. 2년 이하가 54.1%로 절반을 넘어서기도 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ESG 경영에서 비롯하는 어려움에 대해 ‘ESG에 대한 전문성 부족’(37.6%)과 ‘전문인력 미비’(10.8%)를 꼽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지난해 말부터 삼성, 현대차, SK, LG 등 주요 그룹에서는 ESG 전략·공시, 환경 분야 전문인력 채용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주요 기업들은 ESG 경영의 핵심 가운데 환경(E)을 최우선에 두고 대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설문에서 응답기업은 ESG 가운데 환경(67.4%)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사회(18.6%), 지배구조(14.0%) 순으로 중요도를 설정했다. 아울러 기업들은 환경분야 최우선 과제로 탄소배출량 감축(37.1%), 신재생에너지 활용(23.0%), 친환경 기술개발(13.5%) 등을 꼽았다. 실제로 이와 관련해 최근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계획 발표도 이어지고 있다. 현대제철은 4400억 원 규모 친환경 설비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한화건설은 2030년까지 2GW 규모 이상의 풍력사업 개발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기업들이 꼽은 사회 분야 우선과제는 사업장 안전 ·보건 관리(35.6%),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22.0%), 인권경영(12.7%), 노사관계(8.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들은 안전 분야 시스템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안전·환경 부문에 내년까지 총 5000억 원을 투자하여 집중관리에 나선다. LG 화학은 전세계 사업장을 대상으로 환경?안전 분야 관리체계를 글로벌 스탠다드로 맞추는 매그놀리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기업들은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도 협력사에 ESG 컨설팅 등 ESG 리스크 관리 지원을 실행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82.6%가 이미 시행하고 있거나(40.7%), 시행할 예정(41.9%)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에 대기업이 적극 나서다가 자칫 갑질논란에 휘말릴 수 있어 조심스럽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편 국내 기업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국회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을 묻는 질문에서는 ‘감세·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39.3%), ‘ESG 관련 규제 완화’(26.6%),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17.9%)순으로 나타났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