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80대 노인, 사냥개 3마리에 봉변…뼈 드러날정도로 패어

전치 7주 상해…피부 이식·봉합 수술로 45일간 입원

사고견들 안락사 시켰으나 3마리 남아…주민들 불안

/피해자 가족 제공/피해자 가족 제공




강원도 춘천에서 사냥개 3마리가 80대 노인을 공격해 전치 7주의 상해를 입힌 사건이 뒤늦게 알려졌다.



지난해 12월 10일 오후 3시 52분쯤 강원도 춘천시 우두동의 한 주택가에서 우리를 탈출한 사냥개 3마리가 A(85)씨를 공격했다. 당시 목줄이 없는 사냥개 3마리는 A씨에게 달려들어 온몸을 사정없이 물어뜯었고, 순식간에 벌어진 상황에 A씨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 사냥개들의 '맹공'은 2분 가량 이어지다 때마침 차 한 대가 골목길에 들어서자 흩어지면서 끝이 났다.

관련기사



A씨는 황급히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뼈가 훤히 드러날 정도로 곳곳이 깊게 팬 심각한 상처에 서울의 전문병원으로 옮겨져 수술과 치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피부이식수술과 봉합수술을 거쳐 45일간의 입원 치료 끝에 올해 1월 말 퇴원했다.

A씨를 문 사냥개들은 인근에 사는 엽사가 키우는 멧돼지 사냥개로, 사고 당시 땅을 파서 우리를 탈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견주는 문제가 된 사냥개 3마리를 안락사 시켰으나 아직 3마리를 더 키우고 있어 주민들은 '같은 사고를 당하지 않을까' 우려해 외출을 꺼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입원비와 치료비는 견주가 든 보험을 통해 해결됐으나 A씨는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수 있었을 정도의 사고로 노년에 씻지 못할 상처를 입게 됐다. 이에 견주는 피해자 가족에게 사과하며 남은 사냥개들도 원한다면 안락사할 의사가 있음을 전했다.

A씨의 아들 이모(52)씨는 8일 “팔, 다리, 엉덩이, 온몸이 안 물린 데가 없다. 돌아가시지 않은 게 다행일 정도”라며 "그냥 지나가던 개가 덥석 문 정도의 사고가 아니다. 만약 사고 당시 골몰길에 차량이 들어서지 않았다면 돌아가셨을 것"이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경찰은 A씨의 치료가 끝남에 따라 조만간 A씨와 견주를 차례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개 물림 사고 환자 이송 건수는 2016년 2,111건, 2017년 2,405건, 2018년 2,368건, 2019년 2,154건, 2020년 2,114건 등 매년 2,000건 넘게 발생하고 있다. A씨의 사례처럼 맹견에 피해를 봤을 경우 견주에게는 과실치상죄가 적용돼 처벌받을 수 있다.


윤선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