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WHO “오미크론 변이로 사망자 50만 명, 엄청난 비극”

기존변이보다 중증위험 작지만 보건위협 간주

"백신 보호력 감소"…보강할 대안으로 부스터샷 제시

세계보건기구(WHO)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돌발상환관리 지원팀 상황 관리자인 압디 마하무드는 지난 8일(현지시간) 오미크론 변이 출현 이후 사망자가 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세계보건기구(WHO)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돌발상환관리 지원팀 상황 관리자인 압디 마하무드는 지난 8일(현지시간) 오미크론 변이 출현 이후 사망자가 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출현 이후 사망자가 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했다.



AFP 통신에 따르면 지난 8일(현지시간) 압디 마하무드 WHO 코로나19 돌발상황관리 지원팀의 상황 관리자는 작년 11월 말 오미크론 변이가 처음 발견된 이후 확진자는 1억3,000만명, 사망자는 50만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오미크론 변이는 일반적으로 중증 위험도가 델타 변이보다 덜한 것으로 나타나긴 하지만, 델타 변이를 급속하게 따라잡으며 전 세계 우세종으로 자리잡았다. 마하무드 상황 관리자는 "모든 사람이 오미크론이 증세가 심하지 않다고 하지만, 50만명이나 사망했다"며 "이는 엄청난 비극"이라고 말했다.

마리아 밴 커코브 WHO 기술팀장도 오미크론 확진자 숫가 "믿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며 실제 확진자는 알려진 것 보다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확진자 숫자는 이전의 정점들을 모두 평평하게 만든다"며 "우리는 여전히 팬데믹 속에 있고, 많은 나라가 아직 정점을 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몇 주간 사망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면서 "이 바이러스의 위험성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WHO가 매주 발간하는 코로나19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사망자는 6만8,000명으로, 전주보다 7% 증가한 반면, 신규 확진자는 1,930만명으로 17% 감소했다. 유럽이 신규 확진자의 58%, 사망자의 35%를 차지했고 미국은 각각 23%와 44%를 차지했다. 또 오미크론 변이는 지난 한 달간 수집된 샘플의 96.7%를 차지했다. 델타 변이는 3.3%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일련의 주요 백신이 기존 변이보다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중증, 유증상, 감염 예방 등 전 부문에서 보호력이 떨어진다는 점이 나타난다"고 밝혔다. 다만 부스터샷을 맞을 경우 보호력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부연했다.


이주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