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사상 최고 이익 빌미로 금융권 팔 비트나…洪 "소상공인 금융애로 덜어줘야"

11일 오전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입장하고 있다.연합뉴스11일 오전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입장하고 있다.연합뉴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민간 금융권 이익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금융권이 자율적으로 나서 소상공인들의 금융애로를 조금이라도 덜어드리는 선제적 상생협력 모습도 기대한다”고 했다. 이에 금융권 호실적을 빌미로 은행들의 팔을 비트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홍 부총리는 1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확대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지금의 위기를 잘 이겨내려면, 특히 어려움이 큰 소상공인들의 위기극복을 위해서는 정책당국간 협력 뿐만 아니라 민간 금융권의 협력도 절실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회의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약화 및 우크라이나 리스크 대응방향 등을 비롯해 물가, 가계부채 등에 대해서 논의했다.

관련기사



홍 부총리는 특히 오는 3월 소상공인 만기연장·상환유예 연장과 한은의 자영업자 금융중개지원대출 등이 만료되는 만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등이 연착륙하도록 논의할 예정이라고 했다. 현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은행이 최근 2년여 동안 코로나19 지원책의 일환으로 상환 등을 미뤄준 소상공인·중소기업의 대출 원금과 이자만 139조원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만기 연장·상환유예 조치는 3월 말 종료를 원칙으로 하겠다”고 밝힌다 있다. 다만 종료 시점까지 코로나 방역상황, 금융권 건전성 모니터링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겠다고 여지를 열어둔 가운데 홍 부총리가 은행들에 연착륙 방안을 강구할 것으로 주문한 것이다.

주요 시중은행들은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상태다. KB국민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조5908억원으로 전년(2조2982억원) 대비 12.7%(2926억원) 증가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각각 2조4944억원, 2조375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주요 은행들의 호실적 배경에는 코로나19에 따른 부동산, 주식, 가상자산 투자 열풍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부동산 정책 실패로 인해 급격히 늘어난 영끌 매수 및 전세대출 등 또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한국은행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이 있었던 만큼 예대마진이 커진 점도 한몫했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