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아빠, 민증 사진 보내줘"…'딸 바보' 정용진도 당할 뻔했다

SNS에 캡처 사진 올리며 주의 당부

"드디어 나에게도 날라온" 웃어 넘겨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11일 자신의 SNS에 피싱 문자를 받은 사연을 공유했다. /인스타그램 캡처·연합뉴스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11일 자신의 SNS에 피싱 문자를 받은 사연을 공유했다. /인스타그램 캡처·연합뉴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피싱 문자를 받은 사연을 공유하며 누리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정 부회장은 1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자신의 자녀 명의를 도용한 문자 화면을 캡처해 올렸다. 사진에서 피싱범은 “아빠 나 폰 고장 나서 AS 맡겼어. 통화 안 되니까 이 번호로 문자 줘”라며 “안 바쁘면 부탁 하나만 들어달라”고 했다.

관련기사



정 부회장이 “뭔 일이냐”고 되묻자 피싱범은 보험 신청하려는데 휴대폰이 켜지지 않아 인증을 받지 못한다며 정 부회장의 주민등록증 사진을 보내달라고 요구했다. 전형적인 보이스피싱 메시지다.

정 부회장은 SNS에 피싱 문자 사진과 함께 “드디어 나에게도 날라온ㅎㅎ”라며 대수롭지 않게 웃어 넘겼다. 그러면서 “아무리 예쁜 딸이라도 민증 사진 찍어서 보내면 안됩니다. 딸은 당신의 민증이 필요 없습니다”라고 주의를 당부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대기업 총수한테 보이스 피싱이라니”, “간도 크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정 부회장이 겪은 피싱 문자는 자녀가 보낸 것처럼 위장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려는 사기 수법이다. 피싱범들은 주로 수사를 따돌리기 위해 대포폰을 이용하고, 받은 신분증 사진으로 비대면 대출을 받거나 계좌에서 이체하는 등의 수법을 쓴다. 스마트폰 보급 확산으로 간편해진 비대면 금융서비스의 틈새를 악용하는 것이다.

날이 갈수록 피싱의 수법은 교묘하게 진화하고 있다. 최근 음식점 업주들을 상대로 “장염에 걸렸다”며 거짓 항의전화를 해 피해금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는가 하면, 메시지나 이메일에 URL 주소를 첨부해 클릭할 경우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경우도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보이스피싱 의심 문자나 전화를 받았다면 경찰청이나 금융감독원으로 신고하면 된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