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하수구·하천 생활악취원인 물질은 황화수소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하수구·하천 생활악취 조사

하수관로 준설공사 및 해수도수가 황화수소 수치 개선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전경./사진제공=보건환경연구원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전경./사진제공=보건환경연구원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악취로 인한 불편신고가 다수 발생했던 하수구 10곳, 하천 7개 지점을 대상으로 생활악취를 조사한 결과, 황화수소가 주요 악취원인물질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또 하수구의 경우 하수관로 준설공사 이후 악취물질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돼 하수구 내 퇴적물 제거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악취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것으로 분석했다.

관련기사



하천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해수도수와 하절기 강우의 영향으로 악취 및 수질이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부산진구 동천의 황화수소 농도는 0.078ppm에서 0.006ppm으로 감소했고 해운대구 춘천의 황화수소 농도는 0.150ppm에서 0.007ppm로 감소했다.

사상구 삼락천의 황화수소 농도도 0.048ppm에서 0.004ppm으로 감소했다.

부산시는 이번 조사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구·군과 함께 하수관로 등 시설개선을 통한 악취개선 사업에 보다 집중할 계획이다.

안병선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앞으로도 생활공간 속의 냄새를 지속적으로 조사할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