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휴대폰으로 찍은 잔치판 같은 영화…자유로움에 이끌려 단편 또 만들었죠"

애플과 협업한 단편영화 '일장춘몽' 공개 박찬욱 감독

일체 장비 없이 '아이폰13프로'로만 촬영

18일 ‘일장춘몽’ 온라인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박찬욱 감독/사진 제공=애플18일 ‘일장춘몽’ 온라인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박찬욱 감독/사진 제공=애플




“제가 단편영화를 찍는 것은 상업 영화에서 할 수 없는 새로운 실험적 시도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작은 전화기로 영화를 찍는다고 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자유롭다’는 거였죠. 마음껏 노는 잔치판 같은 영화를 구상하게 됐어요. 짧지만 알차게, 야심적인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박찬욱 감독이 애플과 협업해 완성한 단편영화 ‘일장춘몽’으로 돌아왔다. 이번 작품은 박 감독의 첫 사극일 뿐 아니라 지난 2011년 베를린영화제 단편 황금곰상(작품상)을 받은 ‘파란만장’ 이후 10년여 만에 다시 아이폰으로 찍은 영화여서 더욱 눈길을 끈다.

박 감독은 ‘일장춘몽’을 애플 유튜브 채널로 공개한 18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기자 간담회에서 “과거에 ‘파란만장’을 찍었을 때 기억이 좋아 그 뒤에도 기회가 있으면 단편영화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박찬욱 감독의 단편영화 ‘일장춘몽’의 한 장면. 사진 제공=애플박찬욱 감독의 단편영화 ‘일장춘몽’의 한 장면. 사진 제공=애플



‘일장춘몽’은 박 감독이 동생인 박찬경 감독과 함께 각본을 쓴 20분 분량의 단편영화다. 마을의 은인인 무림고수 흰담비(김옥빈)의 관을 만들 나무를 구하기 위해 장의사(유해진)가 무덤을 파헤치는 바람에 무덤 주인인 검객(박정민)이 깨어나면서 일어나는 소란을 그린다. 이번 영화로 사극에 처음 도전한 박 감독은 사극의 틀에 판타지·무협·로맨틱코미디·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를 자유로이 뒤섞어놓았다.

관련기사



그는 “특정 장르가 아니라 이리저리 마음대로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이미지를 생각하게 됐고 이를 스토리로 풀다 보니 소리꾼이 등장해 판소리도 하는 마당극 같은 이야기가 나왔다”고 돌아봤다. 제목을 ‘일장춘몽’으로 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제목을 지으려 사자성어 중 어울리는 것을 찾아 골랐다”며 “인생이 아름다우면서도 덧없는 꿈이라는 뜻이라 내용과도 더없이 잘 어울린다”고 했다.

박 감독의 이번 작업은 애플이 아이폰의 카메라 성능을 보여주기 위해 직접 찍은 사진과 동영상을 선보이는 캠페인 ‘샷 인 아이폰(Shot on iPhone)’의 일환이기도 하다. 박 감독 외에 미셸 공드리, 데이미언 셔젤, 첸커신, 지아장커 등이 참여했다. 박 감독은 일체의 추가 장비 없이 ‘아이폰13 프로’ 스마트폰으로만 이 영화를 찍었다. 그는 “진보한 기술이 탑재된 기계로 새로운 영화를 만들고 싶어 ‘일장춘몽’을 찍게 됐다”며 ‘파란만장’을 찍을 때는 큰 화면에서 화질이 깨져 트릭을 쓴 반면 이번에는 그럴 필요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김우형(왼쪽부터) 촬영감독, 배우 유해진·김옥빈, 박찬욱 감독, 배우 박정민이 18일 온라인으로 열린 ‘일장춘몽’ 기자간담회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제공=애플김우형(왼쪽부터) 촬영감독, 배우 유해진·김옥빈, 박찬욱 감독, 배우 박정민이 18일 온라인으로 열린 ‘일장춘몽’ 기자간담회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제공=애플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주연 배우인 유해진·김옥빈·박정민도 참석했다. 박 감독과 처음 작업한 유해진은 “감독님의 영화를 보기만 해야 하는 입장인가 생각하며 살았는데 불러주셔서 너무 감사했다”며 “휴대폰으로 찍는 영화의 퀄리티가 궁금했는데 직접 보고 깜짝 놀랄 만큼 좋았다”고 말했다. 역시 ‘일장춘몽’이 박 감독과의 첫 작품인 박정민도 “심장이 뛰었고 저한테는 꿈 같은 일이었다”고 돌아봤다. ‘박쥐’에 이어 박 감독과 두 번째로 함께한 김옥빈은 “‘박쥐’ 때 감독님은 젊고, 에너지 넘치고, 노련하면서 묘한 느낌이었는데 오랜만에 뵈니까 바라볼 수 없는 거장의 분위기가 났다”고 소회를 전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