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영화·웹툰·음악 구독으로 묶는다… "왓챠 2.0으로 2030년 1억 이용자 확보"

■ 2022 왓챠 미디어데이

자체 콘텐츠 선봬 해외시장 공략

게임·공연 등도 개인화 경험 제공


“기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웹툰과 음악을 묶은 구독상품 ‘왓챠 2.0’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해 오는 2030년까지 1억 명의 유료 구독자를 확보하겠습니다.”

박태훈 왓챠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2022년 왓챠 미디어데이’에서 왓챠 2.0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왓챠박태훈 왓챠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2022년 왓챠 미디어데이’에서 왓챠 2.0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왓챠





박태훈(사진) 왓챠 창업자 겸 대표(CEO)는 22일 서울 여의도 한 호텔에서 열린 ‘2022년 왓챠 미디어데이’에서 이같이 밝혔다. 기존 영화 감상과 평점주기에 웹툰·음원 서비스를 더한 구독 상품을 개발해 구독자층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기존 웹툰·음원서비스 플랫폼과 제휴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체 콘텐츠를 확보해 제공할 계획이다. 회사측은 웹툰 작가, 음원제공업체들과의 제휴가 거의 마무리된 만큼 조만간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현재 왓챠 4인 구독 상품 기준 이용료가 1만2900원인 점을 감안하면 구독료는 1만5000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표는 “매달 수만곡이 발매되는 음악은 왓챠의 장점인 개인화 경험과 시너지가 크다”며 “그간 건당 결제를 유도하기 위해 창의성이 제한됐던 웹툰도 구독에 포함하면 다양한 색깔로 만들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장기적으로 웹툰·음악 외에도 게임·웹소설·공연 등 모든 문화 콘텐츠를 개인화된 경험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왓챠는 지난 2011년 영화 평가 앱 ‘왓챠피디아’로 출범한 국산 OTT다. 지난 2016년에는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영화·드라마를 추천해주는 OTT 서비스를 출시했다. 2020년에는 일본에 진출해 국내 OTT 최초로 해외 시장을 개척했다.

국내 OTT 시장에서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티빙 등 국내외 OTT 업계가 대규모 콘텐츠와 마케팅을 앞세워 치열한 경쟁을 벌이면서 스타트업인 왓챠는 위기에 놓였다. 시장분석기관 와이즈앱에 따르면 올 1월 국내 OTT 앱 이용자 수는 넷플릭스 1097만(27%·이하 전년 1월 비 증가율), 티빙 366만(42%), 웨이브 357만(25%), 쿠팡플레이 355만(418%) 등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넷플릭스는 거액의 투자로, 티빙과 웨이브는 방송·통신사와 연계로, 쿠팡플레이는 유통 사업과 묶음판매 전략으로 이용자 확보에 나서고 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왓챠는 특색 있는 구독 콘텐츠로 장기 구독을 유도하는 전략을 선택한 것이다. 영상보다 더 자주 접하게 되는 웹툰과 음악을 연계해 구독자를 늘리겠다는 것이다. 원지현 왓챠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지난 11년간 구독잔존율이 콘텐츠 서비스에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깨달았다”며 “구독잔존율을 10%포인트만 높여도 2년간 구독 매출을 85%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왓챠는 웹툰·음악 사업으로 확보한 지식재산권(IP)을 영상화하고, 나아가 대체불가능토큰(NFT)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와 전략적 제휴를 맺기도 했다. 박 대표는 “왓챠 IP를 NFT로 공개해 콘텐츠 제작자에게 새 기회를 주겠다”며 “이르면 올해 기업공개(IPO)에 나서고 내년 해외시장에 추가 진출해 K콘텐츠를 세계 시장에 알리겠다”고 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