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위아, 한양대와 차세대 모터 개발 추진

블록코일 적용한 사업협력 MOU

원광민(왼쪽) 현대위아 차량부품연구센터장 상무와 이주 한양대 교수가 지난 22일 서울 한양대학교에서 ‘블록코일을 적용한 모터 사업 협력을 위한 합의서(MOA)’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위아원광민(왼쪽) 현대위아 차량부품연구센터장 상무와 이주 한양대 교수가 지난 22일 서울 한양대학교에서 ‘블록코일을 적용한 모터 사업 협력을 위한 합의서(MOA)’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위아




현대위아(011210)가 한양대학교와 손잡고 블록코일을 적용한 차세대 모터 양산 개발에 나선다.



현대위아는 지난 22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에서 ‘블록코일을 적용한 모터 사업 협력을 위한 합의서(MOA)’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현대위아는 한양대 캠퍼스에 ‘현대위아 아이 모터 랩(i-Motor Lab)’을 열고 연구 및 인력 양성을 추진한다. 또 한양대의 블록코일 모터 지식을 기반으로 로봇용 구동시스템 양산을 위한 공동 개발에 나선다.

관련기사



현대위아와 한양대가 개발하는 블록코일 모터는 권선(코일) 다발과 고정자(자석)로 구성된 기존 모터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모터로 불린다. 블록코일 모터는 권선 다발 사이에 있는 빈 공간을 없애고 생산이 쉬운 구조로 개발했다. 한양대학교 전기공학 전공 이주 교수 팀이 개발해 2020년 열린 CES에 출품하기도 했다.

기존 모터보다 성능도 월등하다. 현재 흔히 사용되는 모터는 소재가 한정적이고 구조도 특정돼 있어 출력에 한계가 있다. 반면 슬롯을 없앤 블록코일 모터는 기존 모터보다 크기가 16% 작지만 동일한 출력을 낼 수 있어 정교한 제품을 만들 때 용이하다는 설명이다. 기존 모터와 같은 크기의 블록코일 모터를 협동로봇에 적용하면 작업 가능 중량은 최대 40%까지 증가한다.

현대위아와 한양대는 최대 10kW의 출력을 낼 수 있는 블록코일 모터를 비롯해 다양한 출력의 모터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개발 중인 협동로봇, 주차로봇(AGV), 물류로봇(AMR)을 비롯해 친환경 차량용 4륜구동 부품인 전동화 액슬(e-TVTC)과 통합 열관리 시스템 등에도 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실제 양산 이후 다양한 제품에 적용해 미래 모빌리티 부품과 로봇 시장에서 글로벌 눈높이에 맞는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