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뛰는 수출물가, 나는 수입물가’…한경연 “수출입 물가차로 적자 확대”

수입물가, 수출물가보다 7.2%p↑

원유가격 급등, 반도체 가격 부진

적자난 2008년, 물가상승차 12.6%p

“재정건전성 확보, 투자 개선해야”

[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수입 물가가 치솟은 반면 반도체를 비롯한 주력 수출품 물가는 적게 오르며 무역 적자가 확대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년 동월 대비 올해 1월 수입 물가 상승률은 19.6%, 수출 물가 상승률은 12.4%를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1월 수입 물가 상승률은 작년 연간 상승률인 21.1%보다 낮았다”면서 “수입 물가 상승 자체보다는 수입 물가 상승률과 수출 물가 상승률 간의 격차 확대를 최근 무역 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수입물가지수 상승률-수출물가지수 상승률)는 7.2%포인트(p)로 2021년 3.4%p와 비교해 크게 확대됐다. 지난해 수입 물가가 오른 만큼 수출 물가도 오르면서 무역수지가 흑자로 유지됐지만, 올해는 수출 물가 대비 수입 물가가 더 크게 오르면서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됐다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지난달 수입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5% 증가했지만, 수출물량은 8.6% 증가하는 데 그쳐 무역수지 적자 폭이 더욱 커졌다.

한경연은 올해 무역적자 여부와 규모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최대 수입 품목인 원유 가격과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가격을 지목했다. 원유 가격은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커졌지만, 반도체 가격은 2021년 10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경연은 우리나라가 원자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주력 수출 품목은 경쟁이 치열한 공산품에 집중돼 있어 원자재 가격 상승을 수출품 가격에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수입 물가와 수출 물가 상승률 격차가 커지면 무역수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00년대 중 유일하게 무역적자를 기록한 2008년은 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가 12.6%p에 달해 2000년대 중 가장 높았다. 당시에도 반도체 가격 하락과 원유 가격 상승이 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를 키웠다. 한경연 관계자는 “올해 수출입물가 상승률 격차가 작년보다 커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무역수지 적자에 대비해야 한다”며 “대외 신인도 하락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재정건전성 확보와 투자 여건 개선 등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