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닻 올린 민주당 비대위, 대장동 특검 등 앞길 첩첩산중

尹 "분골 쇄신" 의지 다졌지만

당내 "패권정치 합작물" 비판속

원내대표 선출·지선 '과제 산적'

윤호중(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민생 개혁 법안 실천을 위한 상임위원장 및 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윤호중(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민생 개혁 법안 실천을 위한 상임위원장 및 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쇄신 대상이 비상대책위원회를 맡았다”는 비판을 무릅쓰고 ‘윤호중 비대위’가 14일 닻을 올렸다. 윤호중 비대위원장이 대선 패배의 쇄신 대상 가운데 하나라는 당 안팎의 지적을 의식해 더불어민주당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관리형’ 윤 비대위원장과 ‘쇄신형’ 박지현 비대위원장을 공동 위원장을 내세운 ‘투톱 체제’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지만 직면한 과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당장 오는 25일까지 신임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하는 데다 정치 개혁과 특별검사 등 굵직한 현안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윤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는 것으로 공식 일정을 시작했다. 윤 비대위원장은 첫 비대위 회의에서 “민주당의 나태함과 안일함이 대선 패배로 이어졌다”며 “뼈와 살을 가르는 마음으로 반성하겠다”고 쇄신 의지를 다졌다. 하지만 노웅래 민주연구원장은 이날 KBS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윤호중 비대위’는 우리 당이 가진 진영과 패권 정치의 합작물”이라고 날을 세웠다.

관련기사



당내 반발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윤호중 비대위’는 굵직한 현안을 잇따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우선 25일까지 신임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한다. 민주당은 지난 11일 의원총회를 열고 교황 선출 방식(콘클라베)으로 새 원내대표를 뽑기로 했다. 윤 비대위원장은 이날 원내대표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김영주 의원을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원내대표를 선출하고 나면 본격적인 지방선거에 돌입하게 된다. 선거가 80일도 남지 않았지만 대선을 치르고 난 뒤 공천을 하기로 한 탓에 아직 공천관리위원회도 구성하지 못했다. 5월 12일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이 시작되기 전까지 시도 지사 및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시·도 의원, 시·군·구 의원 공천 절차를 마쳐야 한다. 여기에 3월 이내에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열고 광역 의원 선거구 획정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정치 개혁 과제를 두고 여야의 거친 공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내세운 여성가족부 폐지 등을 놓고 여야의 힘겨루기도 만만치 않다. 민주당은 여가부를 보전하면서 기능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충돌이 예상된다. 대장동 특검을 두고도 전선이 강하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이 172석의 의석수로 부산저축은행 비리 무마 사건을 포함한 상설 특검을 밀어붙이겠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은 ‘꼼수’라고 일축하며 이재명 전 민주당 대선 후보를 정조준하고 있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