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통합·소통' 행보 尹, 이번엔 파스타 먹고 돌담길 산책…與는 용산 집무실 '맹공'

혼밥 않겠다는 尹, 네번째 오찬정치

김한길·김병준·박주선과 함께 점심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도 속도

與 "안보위협 상황 속 이사, 참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 인근 식당에서 오찬을 한 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박주선 대통령취임식준비위원장, 김병준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 등과 산책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민의힘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 인근 식당에서 오찬을 한 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박주선 대통령취임식준비위원장, 김병준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 등과 산책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나흘 연속 ‘오찬 정치’를 이어가고 있다. 또 대통령 집무실의 이전 논의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통합’과 ‘소통’을 강조한 행보에도 쉼이 없다.

윤 당선인은 17일 김한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장, 김병준 인수위 지역균형특별위원장, 박주선 대통령취임식준비위원장과 오찬을 함께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김한길 위원장과 함께 집무실이 있는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도보로 이동해 근처 이탈리안 식당에서 점심을 먹었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과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 등도 한 테이블에 동석했다.



오찬은 1시간 30분가량 진행됐는데 윤 당선인은 피자와 샐러드를 세 위원장 접시에 직접 덜어주는 등 친밀한 모습도 보였다. 또 비공개 식사에도 불구하고 식당에는 식사하러 온 일반 시민들이 드나드는 등 자유로운 분위기가 지속됐다. 김 대변인은 “당선인 곁에 앉으신 위원장님들 모두 그동안 우리 진영의 건너편에 서 계셨던 어른들이다. 윤 당선인은 우리와 진영과 이념이 달랐어도 국민만 보고 섬기며 이 동일가치를 공유하는 모든 분들과 함께 일하는 정부를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 인근 식당에서 오찬을 한 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박주선 대통령취임식준비위원장, 김병준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 등과 산책하며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국민의힘 제공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 인근 식당에서 오찬을 한 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박주선 대통령취임식준비위원장, 김병준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 등과 산책하며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국민의힘 제공


식사를 마친 윤 당선인은 경복궁 앞 돌담길을 따라 산책하며 국민과 인사를 나눈 뒤 통의동 집무실로 복귀했다. 윤 당선인은 지난해 9월 한 TV 프로그램에서 “대통령이 된다면 ‘혼밥’을 하지 않겠다. 사람이 밥을 나누는 게 소통의 기본”이라며 “국민 앞에 숨지 않겠다”고 약속했는데 이를 지킨 것이다. 꼬리곰탕(14일 남대문시장), 짬뽕(15일 경북 울진 산불 피해 현장 인근 중식당), 김치찌개(16일 통의동 인근 식당) 등이 지금까지의 메뉴였다. 김 대변인은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공화당 의원을 초대해 식사했던 사례를 들어 “혼밥 안 하는 윤 당선인이 함께 건네는 따뜻한 밥이 새 정부의 훈훈하고 유쾌한 변화로 기억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도 최종 논의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 속으로 들어가겠다는 윤 당선인의 의지가 본격적인 실행에 옮겨지게 된 것이다. 다만 윤 당선인의 ‘소통’ 행보를 둘러싼 더불어민주당과 청와대는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김 대변인은 앞서 집무실 이전을 고려하는 이유로 “지금의 청와대 구조는 국민보다 대통령에 더 집중된 구조다. 비서동에서 대통령 집무실까지 올라가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시민과의 소통에서 단절돼 있고 고립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라디오(MBC)에서 “현재 청와대에서 대통령은 본관에서 근무하지 않는다. 문재인 대통령은 비서실과 집무실 거리를 없애기 위해서 본관 근무를 마다하고 비서동으로 내려와 계신다”며 “대통령께서 (참모를) 찾으시면 1분 안에 대통령을 뵐 수 있다”고 반박했다.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부와 합참의 많은 부서와 시설본부, 국방부 근무지원단이 모든 업무를 중지하고 오는 3월 말까지 이사를 해야 한다”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 안보 위협이 가중돼 실시간 상황에 대비해야 하는데 이사 준비를 하고 있는 현실에 참담함을 느낀다”고 비판했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