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신규 확진 49만 881명…누적 확진자 1000만 명 넘어서

주 중반에 들어서며 다시 50만 명대

23일 오전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23일 오전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 구간에 진입한 가운데 23일 0시 기준 누적 확진자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전체 국민 5명 중 1명이 코로나19에 걸린 셈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도 전날보다 14만 명 늘며 50만 명에 육박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3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 수가 49만 881명 증가해 누적 확진자 수는 1042만 7247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날 확진자 수는 35만 3922명에서 이날 13만 6917명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7일(62만 1205명) 확진자 수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일주일 전인 지난 16일의 40만 694명보다는 9만187명 많다.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도 9만 808명을 기록하며 전날 대비 3만 5393명이 증가했다.

관련기사



확산세가 이어지며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 역시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이날 사망자 수는 291명으로 집계되며 누적 사망자는 1만 3432명(치명률 0.13%)이다. 위중증 환자 수는 1084명으로 지난 8일(1007명) 이후 16일째 네 자릿수다.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64.4%(2825개 중 1819개 사용)로 전날(67.8%)보다 3.4%포인트 감소했다. 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치료하는 준중증 병상 가동률은 68.0%(5343개 중 3635개 사용)다.

재택치료자 수는 전날보다 5069명 증가해 182만 7031명이다. 건강 모니터링을 받는 60세 이상, 면역 저하자 등 집중관리군은 27만 1851명이고, 나머지는 자택에서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일반관리군이다.


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