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김정숙 여사, 한복 6벌, 구두 15켤레 현금결제"…靑 "사비"

탁현민 "카드로 구매했다는 얘기"…특활비 논란 일축

'한복 현금구입' 보도엔 靑 "사비를 현금으로 쓴 것, 세금계산서도 발행"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의 옷 값을 둘러싼 정치권 공방이 30일도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청와대는 김 여사가 의상 비용으로 특수활동비를 사용한 적이 일절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일부에서는 김 여사가 과거 현금으로 한복을 구입했다는 의혹 보도도 나왔으나 청와대는 이에 대해서도 "사비를 현금 형태로 산 것 뿐"이라며 문제될 것 없다고 일축했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30일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의 의상을 사는 데 청와대 특수활동비가 쓰였다는 의혹과 관련해 "관저에서 키우는 개 사룟값도 직접 부담한다"며 "(옷을 특활비로 샀다는 의혹) 그 자체가 놀라운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탁 비서관은 이날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부의 어떤 비용으로도 옷값이라든지 사적 비용을 결제한 적이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청와대가 전날 해외 순방 등 주요 행사에 착용했던 의상은 특활비가 아닌 사비로 구입했다고 밝힌 데 이어 재차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제기되는 의혹을 반박한 것이다.

탁 비서관은 "영부인 의상에 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논란이 된 특활비에도 당연히 그런(의상 구입) 항목은 없다"며 "김 여사의 의상 구입에 쓰인 특활비는 한 푼도 없다"고 강조했다.



일부 네티즌이 '김 여사의 의상을 전부 사비로 사기에는 부담스러운 가격'이라는 의혹을 제기한 것을 두고는 "문제의 핵심이 특활비 활용 여부라면 그런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개인이 개인 돈으로 사 입은 옷인데 대통령 부인이라는 위치 때문에 계속 해명해야 하는 것인지 잘 이해가 안 된다"고 했다.

탁 비서관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쇼'에 나와서도 의료비는 사비로 부담했다고 강조하면서, 사회자가 '카드로 직접 계산했다는 건가'라고 묻자 "맞다. 물론 사비(를 사용한다는 것은) 카드로 구매했다는 얘기"라고 답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날 조선일보에서는 '김 여사가 한복 6벌, 구두 15켤레를 구입하면서 이를 매번 전액 현금으로 지급했다는 증언이 나왔다'는 취지의 보도가 나왔다.

이 매체는 지난 2017년 문 대통령 취임 후 김 여사가 두루마기 등 700만원 어치 한복 외에 수제화도 현금으로 결제했고, 그 대금은 당시 2부속비서관으로 동행했던 유송화 전 청와대 비서관이 치렀다고 전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해당 보도에 대해 "여사의 사비를 현금으로 쓴 것"이라면서 "세금계산서까지 발행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안다. 문제 될 것이 없다"고 반박했다.

탁 비서관은 김 여사가 2억원 상당의 까르띠에 브로치를 착용했다는 주장과 관련해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여사가 착용한 브로치를 만든 디자이너가 해당 내용을 해명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사회자가 "까르띠에 '짝퉁'을 착용한 것이라는 궁금증이 있다"고 하자, 탁 비서관은 "그 디자이너에게 상당히 모욕적인 발언이 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탁 비서관은 인터뷰 도중 한 시청자가 '사비로 옷을 산 내역을 공개하라'는 문자 메시지를 보내오자 그를 향해 "(해당 시청자의) 옷장이 궁금하다고 제가 그냥 열어봐도 되는 건가요"라며 다소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기도 했다.


정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