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민간인 대피 통로 7곳 개설…마리우폴은 또 빠져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에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주민들이 폐허로 변한 삶터를 뒤로 하고 피란길을 나서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이날부터 마리우폴에서 자국 자포리자로 이어지는 주민 대피용 '인도주의 통로'를 개설한다고 밝혔다. 마리우폴은 지난달 초부터 러시아군의 포위 공격으로 주택 대부분이 파괴되고 식량, 수돗물, 전기 공급이 끊겼다. 연합뉴스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에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주민들이 폐허로 변한 삶터를 뒤로 하고 피란길을 나서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이날부터 마리우폴에서 자국 자포리자로 이어지는 주민 대피용 '인도주의 통로'를 개설한다고 밝혔다. 마리우폴은 지난달 초부터 러시아군의 포위 공격으로 주택 대부분이 파괴되고 식량, 수돗물, 전기 공급이 끊겼다. 연합뉴스




우크라이나가 2일 하루 동안 교전 지역에서 민간인을 대피시키기 위한 안전 통로 7곳이 개설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리나 베레슈크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적에게 포위된 지역에서 민간인을 대피시키기 위한 안전 통로 7곳이 오늘(2일) 계획돼 있다"고 말했다. 다만, 마리우폴에서 피란 버스를 이용해 대피하려는 사람을 위한 안전 통로는 개설되지 않았다.

한 달 넘게 러시아군에 포위된 마리우폴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후 인도주의 위기가 가장 심각한 도시로 꼽힌다.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는 이날 대규모 버스를 동원해 마리우폴에서 민간인을 대피시키기 위한 안전 통로 개설을 다시 시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ICRC는 전날 피란 버스 45대를 이끌고 마리우폴에서 안전 통로를 개설하기 위해 도시 접근을 시도했으나, 러시아군의 저지로 결국 실패했다.

지금까지 마리우폴의 민간인은 피란 도중 공격받을 위험을 무릅쓰고 개인 차량으로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통로를 이용해 도시를 탈출했다.

우크라이나 정부와 적십자는 여러 차례 대규모 피란 버스를 이용해 마리우폴에 식량·의약품 등 구호물자를 보급하고 피란민을 대피시키려 했으나, 번번이 러시아군에 가로막혀 실패했다.

러시아군은 마리우폴을 2014년 병합한 크림반도와 친러시아 반군이 점령한 동부 돈바스 지역을 육상으로 연결할 거점으로 보고 우크라이나 침공 뒤 포위 공격을 계속하고 있다.

테차나 로마키나 우크라이나 대통령 보좌관은 지난 2월 24일 러시아의 침공 개시 이후 마리우폴에서만 적어도 민간인 5000 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