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우조선해양, 항모급 초대형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승인

탈탄소화 정책에 대형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수요 늘어

미국 선급 ABS에 기술 적합성 인정

대우조선해양이 개발 중인 초대형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사진제공=대우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이 개발 중인 초대형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사진제공=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중형 항공모함과 크기가 비슷한 초대형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7일 대우조선해양은 미국 선급인 ABS로부터 7만㎥급 초대형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LCO2 Carrier)에 대한 기본 승인(AIP)을 획득해 기술 적합성을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최근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 정책과 탄소포집 기술 발달로 선박을 통한 액화이산화탄소 운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 식품 산업에서 쓰이던 1000㎥급 소형 운반선으로는 현재 탄소포집 시장 요구를 만족 시키는 데 한계가 있어 초대형 운반선 개발 경쟁이 시작되고 있다.

이 선박 길이는 260미터, 폭 44미터로 중형급 항모 규모로 현재까지 선급의 인증을 획득한 운반선 중 가장 크다. 특히 LNG추진엔진을 탑재하고 선박용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 각종 환경 규제에 대응할 수 있게 개발됐다.

이번 인증에서 ABS 선급 규정은 물론 국제해사기구(IMO)의 IGC코드(산적 액화가스 운반선의 건조와 장비에 관한 국제 규정)도 준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액화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위한 새로운 소재 개발과 용량을 증가시켜 선주의 운용 효율을 높이는 선박 디자인도 개발 중”이라며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분야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