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 스마트시티운영센터 해외관료 '필수코스' 됐네

70여개국서 1만6000명 방문

벤치마킹·상호협력 요청 쇄도

베트남·필리핀 등에 수출 협의

인천경제자유구역 스마트시티 플랫폼 개요. 자료 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인천경제자유구역 스마트시티 플랫폼 개요. 자료 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스마트시티 기술력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스마트시티운영센터’에 해외 정부와 기업들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명소로 부상하고 있다.



10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2014년 2월 송도국제도시 G타워에 문을 연 스마트시티운영센터를 방문한 국가는 70여개국에 이른다. 지난해 말 기준 2만 5293명이 방문했고 이 중 외국 정상과 기업인은 1만 6020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방문자 9273명보다 2배 가까이 많은 셈이다.

관련기사



주요 방문객으로는 이집트·코스타리카·미얀마 대통령, 벨기에 왕비 등 국빈을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 경제기획부 장관, 싱가포르 환경부 차관 등이 꼽힌다. 이들은 최첨단 스마트시티 기술이 적용된 인천경제자유구역을 견학한 뒤 벤치마킹과 상호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과 2021년은 방문객 수가 354명으로 491명으로 급감했다.

인천경제청은 송도국제도시의 스마트시티 경쟁력을 해외로 수출하는 사업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금까지 말레이시아 등 8개국에 수출됐고 베트남과 필리핀 등 3개국과도 협의 중이다. 앞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면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국가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송도국제도시 스마트시티 사업은 수출 효자종목으로도 부상하고 있다. 2017년 인도에 스마트시티 플랫폼 드론 서비스를 개발해 2억 5000만 원의 수익을 냈고 2019년에는 필리핀에 1억 원 상당의 교통신호제어시스템을 수출하는 성과를 냈다. 국내 도시들도 잇따라 송도국제도시의 스마트시티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경북, 경기 안산·파주, 충북 청주, 충남 서산, 전북 고창, 전남 나주, 경북 경산·포항·구미·김천 등이 앞다퉈 스마트시티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원재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은 “인천경제청은 장기적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데이터허브와 도시정보를 통합한 ‘스마트빅보드’를 구축할 방침” 이라며 “4차 산업 접근성 등을 높여 도시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최첨단 국제도시의 기틀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