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한국, 마침내 '트리플 펀치' 위기 왔다" 日경제학자 경고

원화가치 하락·무역적자·격차확대 등 3대 악재

"尹정부, 경제·사회 안정 도모 어려움 처할 것"

부산항 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가득 쌓여있다. 연합뉴스부산항 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가득 쌓여있다. 연합뉴스




‘포스트 코로나19’의 불확실성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악재가 겹치면서 세계 경제가 ‘퍼펙트 스톰’에 빠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일본 경제학자가 한국 경제도 ‘트리플 펀치’의 난관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마카베 아키오 호세이대 교수는 11일 경제매체 ‘겐다이(現代)비즈니스’에 기고한 칼럼에서 “세계적으로 재화와 서비스 가격이 상승하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급속히 커지고 있다”며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는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 등의 상황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원화가치 하락’, ‘무역적자’, ‘격차확대’ 등 3가지를 들어 "‘트리플 펀치’의 위기가 한국을 덮치고 있다”고 짚었다.

마카베 교수는 미즈호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 등을 지낸 베테랑 이코노미스트 출신이다. 그는 ‘물가는 오르는데 월급은 늘지 않는 최악의 상황이 일본에 찾아올 수 있다’고 경고하는 등 내우외환에 빠진 자국 경제의 현실에 대해 경고를 전하기도 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위기 이후 외환시장에서 브라질 헤알화 등 자원부국의 통화가치는 상승한 반면 한국, 일본, 터키 등 자원부국이 아닌 나라들은 통화가치 하락이 컸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서는 이미 그러한 우려를 높이는 징후가 나오기 시작했으며 ‘3월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했다는 지난 1일 발표는 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지난달 한국의 무역수지는 1억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등 호조에 힘입어 수출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석유, 가스 등 가격이 치솟으면서 적자를 기록한 것이다. 마카베 교수는 “이는 자원 등을 수입해 반도체 등을 대량으로 생산·수출함으로써 경제성장을 실현해 온 한국에 무시할 수 없는 부정적 변화”라면서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 전환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라고 했다.

또한 한국의 수입물가는 상승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마카베 교수는 “한국은 자원부국이 아니다. 2020년 초가을 이후 코로나19 재확산과 기상이변 등으로 에너지 자원, 광산 자원, 곡물 등 가격이 크게 상승했는데 자원을 수입하는 한국이 전세계적인 공급 경색에서 기인하는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는 어렵다”며 “원화가치 하락까지 겹치면서 한국의 수입 물가 상승세는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수입 측면의 악재와 함께 한국의 수출도 둔화될 것으로 마카베 교수는 예상했다. 우크라이나 위기 등으로 당장 세계경제 회복세가 둔화하기 시작했고, 한국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코로나19 재확산이 심각하다는 점 등을 들었다.

그는 무역에서의 역풍 속에 내수가 부진해지면 경제 성장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그 결과로 우려되는 문제 중 하나가 경제 격차의 확대”라고 강조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 한국은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부채가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물가의 상승압력 억제와 외환방어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다"라며 “물가와 금리 상승으로 자금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생활수준(씀씀이)을 낮출 수밖에 없는 가구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체감경기 악화로 젊은층을 중심으로 일자리, 소득 등 환경이 불안해지기 쉽다”며 “향후 전개에 따라서는 사회 전체에 절망감이 고조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윤석열 차기 대통령은 정부출범 초기 어떻게 경제와 사회의 안정을 도모해 나아갈 지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고 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