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최수문기자의 트래블로그]다시 불붙은 관광청 논란…설립보다 '비전' 우선돼야

日, 경기침체 극복 수단 활용 설립

中은 '문화·관광' 융합 드라이브

尹정부 큰 포용력으로 정책 제시를





관광 업계의 묵은 이슈인 ‘관광청’ 설립이 다시 논란이다. 일부에서는 관광산업 진흥을 위해 관광청이라는 별도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관광 관련 정부 업무는 문화체육관광부가 담당한다. 문화와 체육·관광 업무가 합쳐진 문화체육관광부에는 관광 관련해서는 2개의 ‘국’이 설치돼 있다. 규모 면에서는 작다. 즉 이를 차관급인 ‘청’ 형태로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 일부의 주장이다. 그러면 조직도 늘어나고 관련 인원도 많아진다.

수십 년째 반복됐던 관광청 설립 논의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선거 과정에 이를 공약하면서 다시 불붙었다. 다만 선거가 끝나고 한 달여 지난 현재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조직을 늘리는 것이 유리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다만 순서가 잘못됐다. 조직보다는 목표가 먼저다. 관광을 위해 어떤 미래 비전을 갖고 있느냐다.



관광청 설립을 주장하는 쪽에서는 일본의 사례를 든다. 일본에는 국토교통성 아래에 외청으로 관광청이 있다. 일본의 관광청은 2008년 설치됐다. 일본은 2003년 총리 주재의 관광입국간담회를 만들고 2006년 관광입국추진기본법을, 이듬해 관광입국추진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이어서 이의 실행 조직으로서 관광청을 만든 것이다.

관련기사



확실히 해둘 것은 일본 관광청의 경우 총리의 ‘관광입국’ 추진 수단으로서의 의미가 크다. 관광산업 진흥을 통해 장기간의 경기 침체를 극복하자는 취지에서다.

이웃 중국은 오히려 기존 문화부와 여유국(관광청 성격)을 합쳐 2018년 문화여유부를 만들었다. 관광지를 둘러보는 여행만으로는 관광산업 발전에 불리하다는 이유에서다. 지금 중국에서는 관광 관련 사업을 할 경우 꼭 ‘문화여유(문화관광)’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관광산업에 대해 무신경한 우리 정부와는 좀 다르다. 윤 당선인이 관광청 설립 공약을 냈는데 실제 이 관광청을 어떤 성격으로 만들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 관광 업계의 우려다.

박보균 전 중앙일보 편집인이 새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로 내정됐다. 윤 당선인과의 친분과는 별도로 관광 분야에서 어떤 복안을 갖고 있는지도 명확하지 않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반드시 문화 전문가나 관광 전문가일 필요는 없다. 폭넓은 포용력을 기반으로 관광산업을 진흥시킬 수 있다면 환영이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