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항공우주청 유치 총력전 나선 경남

대통령직인수위 건의 등 민관 협력

항공우주기업 154개 중 95개 경남에

"산·학·연 인프라 갖춰진 최적 입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천공장에서 한국형 전투기 ‘KF-21’ 시제기가 조립되고 있다. 사진 제공=KAI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천공장에서 한국형 전투기 ‘KF-21’ 시제기가 조립되고 있다. 사진 제공=KAI




경남도가 새 정부 출범 후 설립될 항공우주청 유치를 위해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경남이 확보한 항공우주사업 경쟁력을 앞세워 미래 성장동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19일 경남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경남테크노파크 항공우주센터와 경상국립대학교 주관으로 개최된 ‘항공우주청 설치 및 항공우주클러스터 조성’ 정책 포럼을 개최하고 항공우주청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국방부, 산업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여러 정부부처에 분산된 항공·우주 정책을 전담하는 항공우주청 설립을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날 포럼에서 항공우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항공우주 선진국으로 도약하고 정책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컨트롤타워 중심의 정책 추진 및 산·학·연·관 협력이 필요하다”며 “관련 인프라와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남부권 연계가 가능한 경남이 항공우주청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지난달에는 경남 지역 항공우주기업 대표 73명이 ‘항공우주청 서부경남 설치 기업 건의문’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등 14개 기관에 제출했다. 항공우주청 설립을 통해 국내 항공우주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기폭제로 삼고 지역 균형발전과 인재 육성의 요람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안을 담았다.

경남도는 일찌감치 항공우주청 유치의 당위성을 강조하며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특히 항공우주산업 기반 시설과 인프라가 이미 확보된 경남이 항공우주청 설립의 최적지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경남도의회도 지난달 도의원 전원이 공동 발의한 ‘우주항공청 설립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했다.

현재 경남에는 국내 154개의 항공우주기업 중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포함해 95개가 있다. 항공우주 분야 기업은 물론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의 생태계가 유기적으로 형성돼있다는 점이 가장 큰 경쟁력이다. 2020년 기준 국내 항공산업 제조 분야의 69.9%와 우주산업 제조 분야의 43.4%가 각각 경남에서 이뤄졌다. 경남 사천시에 본사를 둔 국내 최대 항공우주기업인 KAI는 발사체 제작 전용 공장을 비롯해 위성의 설계, 제작, 조립, 시험이 가능한 국내 최대 규모의 우주센터를 설립·운영 중이다.

연구기관으로는 우주부품시험센터와 항공전자기기술센터를 갖춘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국방기술품질원, 경남테크노파크 항공우주센터 등이 있고 진주의 경상국립대학교는 항공우주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우주부품시험센터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와 유럽우주기구(ESA)의 규격을 충족하는 첨단 장비를 갖춘 국내 최초의 우주 분야 기업 전담 시험평가시설이다.

경남도는 항공우주청 유치와 함께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도 착실히 준비하고 있다. 2030년까지 사업비 6980억 원을 투입해 위성 개발 및 상용화에 필요한 조립, 실증 및 시험평가 인프라를 구축하고 민간 기업의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산·학·연 위성 협의체와 우주특화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하병필 경남도지사 권한대행은 “항공우주 인프라가 집적된 경남에 항공우주청을 반드시 유치하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며 “경남 항공우주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조성해 지역경제 발전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달성하고 우리나라 항공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