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MB·김경수·이석기·정경심 쏟아지는 사면 요구에… 文 입장 밝힐까

청와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며 말 아껴

文, 25일 출입기자와 간담회서 입장 밝힐수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퇴임이 20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종교계와 정치권 등에서 특별사면을 요구하는 탄원이 이어지고 있다. 사면 요구 대상은 이명박 전 대통령부터 김경수 전 경남지사,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까지 폭넓게 거론되고 있는데 청와대는 이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24일 사회각계에 따르면 조계종 등 불교계 인사들은 사회통합을 명분으로 이 전 대통령과 김 전 지사에 대한 사면 청원을 청와대에 제출했다. 이들은 또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아내인 정 교수에 대해서도 건강 악화를 우려하며 사면을 요청했다.



이보다 앞서 문 대통령의 멘토로 알려진 송기인 신부와 함세웅 신부 등 종교계 원로는 정 교수와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에 대한 사면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들은 “정치적으로 민감할 수 있지만, 이분들의 가족과 미래, 겨레를 위해 대통령의 헌법 권한을 행사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시민단체 등에서 이 전 대통령과 김 전 지사, 정 교수에 대한 사면 요청을 다수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이날 정 교수에 대한 사면 요청글을 페이스북에 게재했다. 안 의원은 “검찰개혁 과정에서 고초를 겪은 이들, 윤석열 검찰의 검찰권 남용으로 멸문지화를 당한 가족이 있다”며 “원상회복은 영원히 불가능해도 지금이라도 최소한의 배려는 해줘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사면 요청은 방정균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이 취합해 문 대통령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청와대는 사면과 관련해선 말을 아끼고 있다. 사면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만큼 ‘대통령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을 단행할 때에도 참모진과 별도의 협의를 거치지 않고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어떠한 입장을 보일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25일 예정된 출입기자와 간담회에서 사면에 대한 생각을 밝힐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또 25~26일 방영하는 손석희 전 JTBC 앵커와 대담에서도 입장을 내놓을 수 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